요새와 같은 건축의 아성을 구축한 밀라노에서 정부의 중앙 권력은 여러 계층, 산업, 신문, 기독교 민주당의 봉건 영주들이 적대 관계의 요새를 파괴하려고 할 때 비로소 개입했다. 중앙 권력은 이러한 상황에 이르러서야 사태의 심각성을 감지하거나 상황이 수년 전부터 불법이었다고 믿는 듯한 태도를 견지하고 관련 책임자를 문책했다. 대봉건 영주들의 거센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한, 가련한 교회 기사단들과 타락한 수도승들은 자체의 내규와 금식을 지키고 방탕함을 금지하여 자신들의 보잘것없는 영지나 수도원을 자치적으로 운영한다.

 

 학생들은 강의실이 많은 수강자들로 북적이고 강의가 지나치게 권위적이라고 불평했다. 교수들은 제자들과 더불어 세미나를 열려고 했으나 그 순간 경찰이 개입했다. 경찰과의 충돌에서 다섯 명의 학생이 사망했다. (1200) 그 결과 개혁이 추진되어 교수와 학생들은 자치권을 획득했다. 추기경은 여섯 명의 교수가 추천한 후보에게 강의를 제한할 수 없었다 (1213) 노트르담 사원의 추기경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을 금서로 규정했다.

 

 학생들은 책값이 지나치게 비싸다고 항의하면서 서점을 급습하여 집기들을 닥치는 대로 훼손했다. 이에 경찰은 궁사들을 동원하여 행인들에게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학생들은 인접한 거리에서 돌을 던지며 공권력을 공격했다. 경찰은 반격을 했고 이 과정에서 학생 세 명이 사망했다. 이에 대학은 총파업을 선언하고 모든 건물들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했으며 정부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학생과 교수들은 대학가 주변 지역으로 철수했다.

 

 오랜 협상 끝에 왕은 학생들을 위한 숙소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대학 기숙사와 학생 식당을 설치하는 것을 내용으로 법령을 선포했다. (1229) 탁발 수도회가 열두 개의 강좌들 중에 세 개를 차지했다. 이번에는 세속 신분의 선생들이 들고일어나 탁발 수도회의 마피아적인 행위를 규탄했다. (1252) 1년이 지나 학생과 경찰 사이에 격렬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세속 신분의 선생들은 자신들의 연대감을 표시하는 의미에서 학생들의 행동에 동참했다. 반면 교단 소속의 교수들은 자신들의 강좌를 계속했다. (1253) 대학은 교황과 분쟁 관계에 돌입했다.

 

 결국 교황 알렉산데르 4세는 학부 위원회의 과반수가 찬성하는 경우, 파업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인정했다. 몇몇 선생들이 이에 반대하다가 파면을 당했고 기욤 드 생타무르, 외드 드 두아이, 크레티앙 드 보베, 그리고 니콜라 드 바르쉬로브는 재판에 회부되었다. 파면된 교수들은 [최근 사태의 위험]이라는 백서를 출판했으나 이 책은 1256년에 선포된 인장 교서에 의해 <유해하고 범죄적이며 극악무도한> 것으로 비난받았다.

 

 

-       질레트 지글러 Giliette Ziegler, [Le Défi De La Sorbonne]




Posted by 김구공룡
,


패스트푸드 판매대 등에서 일하는 절반 이상의 (52%) 가정이 하나 이상의 공공 보조 프로그램에 가입되어 있다. 이는 전체 노동자의 경우 (25%) 대비 두 배 이상인 것.




이들 저임금 노동자에 대한 공공 보조 비용은 연간 70억 달러에 달한다.


이중 39억 달러가 메디케이드와 아이들의 건강보험에 쓰인다.


저임금 때문에 패스트푸드 노동자 가족은 연평균 10.4억 달러 어치의 푸드스탬프와 19.1억 달러 어치의 소득세 크레딧 환급을 받는다.


패스트푸드 직종 노동자는 빈곤할 가능성이 높다. 1/5 가 빈곤선 이하의 소득 수준이며 43%의 소득 수준이 연방 빈곤선의 두 배 이하이다.




풀타임 근무를 하더라도 저임금을 보상할 수준이 되지 못한다. 절반 이상이 주 40시간 이상 근무를 하면서도 공공 보조 프로그램에 가입되어 있다.


요식업게는 대체적으로 임금 수준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공공 보조에 의지하는 면이 크다. 




이 분석에서 제시하는 궁극적인 바는, 특히 패스트푸드 업계를 중심으로, 임금을 올리는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공공 보조 프로그램으로 인한 재정 적자를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빈곤을 해소하는 강력한 탈출구가 된다는 것이다.


http://laborcenter.berkeley.edu/publiccosts/fastfoodpovertywages.shtml


 - UC Berkeley 노동연구소 Sylvia Allegretto, Marc Doussard, Dave Graham-Squire, Ken Jacobs,

Dan Thompson, Jeremy Thompson 의 연구 결과.

Posted by 김구공룡
,




https://www.facebook.com/bonne.jason.5/posts/604357056295819



"결혼하고 자식이 없는채로 살면 부부사이에 대화의 컨텐츠가 고갈되기 쉽다. (그는 컨텐츠 업계인이 아니므로 정확히 이런 표현은 아니었으나 대체로 이런 얘기였다) 둘 사이의 대화의 컨텐츠를 서로가 적극적으로 만들어내는 부부라면야 물론 자식이 없는 부부생활도 멋지게 이어갈 수 있겠지만, 그리고 그 난이도가 대단히 높은건 아니므로 어떻게든 해결이 되지만, 보통은 그런데까지 신경쓰면서 부부생활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그게 장기간 누적되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여기에 활력소가 되어주는 것이 육아일 수가 있다. 자식을 함께 기르면 자식 얘기를 나누면서 대화를 하게되고, 자식은 계속해서 변화하며 성장하므로 대화거리가 끊길 일은 없다. 따라서 부부의 관계가 자식을 중심으로 윤택해지는 것이다. "



예전에 '육아의 기회 비용' 관련한 작은 논쟁이 있었던 것을 기억한다. 아이 한 명을 키우는 값이 총 2억이라 하면 그 돈을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는.

물론 두 안의 효용 자체가 객관적으로 정량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명쾌하게 결론지어질 논제는 아니겠으나  내가 기억하는 인상적인, 그리고 동의할 수 밖에 없었던  코멘트는, '아이는 조금만 투자해도 쑥쑥 자라며 많은 것을 배우지만 (이미 성장이 끝난) 어른들은 그 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질 않는다' 라는 것. 이른바 투자수익 한계효용체감의 생애 사이클에서 구현되는 양상.

실제로 부모가 되는 나이대의 어른은 신체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지성적으로든 대체적으로 더 이상 성장하거나 변화하지 않는다. '새로운 컨텐츠'도 더 이상 거의 없다. 이것이 '출산과 육아' 라는, 개채 생태학 측면에서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또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이제 많은 사람들이 육아를 기회 비용으로 저울질할 여유조차 없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고, 비혼과 무출산은 선택이 아닌 반강제가 되어가는 '부활한 저성장의 시대'의 현실 앞에서 개개인의 끊임없는 '컨텐츠 보강' 이야말로 독거시대의 새로운 중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테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Posted by 김구공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