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들에게 있어서 과학은 여전히 근사한 납땜질, 근사한 기구 생산 - <기술학> - 에 불과할 뿐이다. 그것은 매우 유용하긴 하지만, 우리를 거의 무식한 자들 (셰익스피어의 표현을 빌면, <기계와 같은 인간들>) 의 지배하에 놓이게 할 우려가 있는, 참된 문화에 대한 일종의 위험물이다. 과학은 결코 문학이나 예술 또는 철학과 동등하게 말해져서는 안 된다. 그것의 외견상의 발견들은 단순한 기계적 발명들이며, 그 이론들은 도구들 간단한 장치들이나 거대한 장치들 이다. 과학은 우리의 일상적 현상 세계의 배후에 있는 새로운 세계를 드러낼 수 없고, 드러내지도 않는다. 물리적 세계는 단지 외양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깊이를 갖지 않는다. 세계는 바로 보이는 그대로의 세계이다. 오직 과학적 이론들만이 그들이 보여주는 그대로가 아니다. 과학적 이론은 세계를 설명하지도 않고 기술하지도 않는다. 그것은 단지 도구에 불과할 뿐이다.

 

 … 나는 많은 것들이 우리 앞에 감춰져 있으며, 그 중 많은 것들이 발견될 수 있다는 본질주의에 기꺼이 동의한다. 그리고 나는 <세계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비판할 의도도 전혀 갖고 있지 않다. 단지 내가 이의를 제기하는 본질주의의 교설은, 과학은 오로지 궁극적인 설명을 목표로 한다는 교설이다. 다시 말해 더 이상 설명될 수 없으며, 더 이상의 어떠한 설명도 필요로 하지 않는 설명을 목표로 한다는 교설이다.


 따라서 본질주의에 대한 나의 비판의 목적은 본질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지 갈릴레오의 과학 철학에서 (본질을 믿고 싶어했으나 자신의 작업이 그 믿음을 파괴해 버린 맥스웰에 이르기까지) 본질 관념에 의해 수행된 역할의 반계몽적 성격을 밝히는 데에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나의 비판은, 본질이 있든 없든, 본질에 대한 믿음은 어떤 방식으로든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방해만 되기 쉬우며, 따라서 과학자들이 본질의 존재를 가정해야 할 어떠한 이유도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뉴턴 이론에 대한 본질주의적 해석은 로저 코티스 Roger Cotes 에서 시작한다. 그에 따르면 뉴턴은 물질의 모든 입자는 중력, 즉 다은 물질을 끌어당기는 고유한 힘을 부여받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각 입자는 관성 즉 자신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에 저항하는 고유한 힘을 부여받았다. 중력과 관성은 둘 다 물질의 각 입자에 고유하게 내재해 있기 때문에 그 둘은 물체 내의 물질의 양에 엄격히 비례해야만 하며, 따라서 중력과 관성도 서로 엄격히 비례해야만 한다. 따라서 여기서 관성 질량과 중력 질량 비례의 법칙이 도출된다. 중력은 각각의 입자로부터 방사되기 때문에 인력은 제곱으로 비례한다는 법칙을 얻는다. 다시 말해 뉴턴의 운동 법칙들은 물질의 고유 속성에 기인하는 사태를 수학적 언어로 단순하게 기술한다. 그것은 물질의 본질적 성질을 기술한다. 그러나 코티스에 따르면 뉴턴의 이론은 적어도 물리학 내에서는 - 더 이상의 설명은 불가능하며 그것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유일하게 가능한 그 이상의 설명은 신이 이러한 본질적 속성들을 물질에 부여했다는 것이었다)


 뉴턴의 이론에 대한 이러한 본질주의적 견해는 19세기 말까지 널리 받아들여진 견해였다. 그러한 견해가 반계몽적이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것은 가령 다음과 같은 유용한 물음들이 제기되는 것을 막았다. <중력의 원인은 무엇인가?> 혹은 (독립적으로 시험 가능한) 보다 일반적 이론으로부터 뉴턴의 이론 비슷한 것을 연역함으로써 중력을 설명할 수 있을까?


 그런데 뉴턴 자신은 중력을 물질의 본질적 속성으로 간주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는 데카르트로부터 사물의 본질은, 예컨대 중력처럼 한 물체와 다른 물체들 사이의 관계 (공간 중에서의 상호작용)를 결정하는 관계적 속성이 아니라 연장이나 운동 상태에서의 변화에 저항하는 힘과 같은 사물의 참된 속성이나 절대적 속성 (다른 사물들의 존재에 의존하지 않는 속성) 이어야만 한다는 견해를 이어받은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그는 이 이론의 불완전성과 중력을 설명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이렇게 적고 있다. <중력은 물질에 대해 본유적이고 고유하며 본질적이어서 한 물체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다른 물체에 작용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내가 보기에 매우 불합리하다. 따라서 철학적 문제에 대하 충분한 사유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결코 그런 불합리함에 빠질 수는 없으리라 믿는다> - 1693 2 25일 리처드 벤틀리에게 보낸 편지 중.


 뉴턴이 여기에서 자신의 추종자들 대부분을 미리 비난했다는 것은 흥미롭다. 이런 사실 때문에 데카르트 철학의 배경을 갖고 있던 뉴턴에게는 설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였던 그러한 속성들이, 학교에서 그것들을 배운 그의 추종자들에게는 본질적으로 (그리고 심지어 자명한 것으로) 보였을 것이라고 쉽게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뉴턴 자신은 본질주의자였다. 그는 직접 접촉에 의한 기계적 밀치기 mechanical push 의 가정 오직 이 밀치기만이 모든 물체의 본질적 속성인 연장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기 때문에, 데카르트가 허용할 수 있었던 유일한 종류의 인과 작용 에서 인력의 법칙을 연역해 내고자 시도함으로써, 중력에 관해 누구나 받아들일 수 있는 궁극적인 설명을 찾기 위해 무던히 노력했다. 만일 그가 성공했다면 그는 자신의 문제가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고, 즉 중력에 대한 궁극적인 설명을 찾아냈다고 생각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예들은 본질에 대한 믿음이 (참이든 거짓이든) 사고하는 데에 새롭고 유익한 문제를 제기하는 데에 장애가 되기 쉽다는 사실을 명백히 해준다. 더욱이 그것은 과학의 일부일 수 없다. 왜냐면, 설혹 우리가 운 좋게도 본질을 기술하는 이론을 우연히 찾아냈다 할지라도, 그것을 확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계몽으로 이끌기 쉬운 신조는 분명 과학자들이 받아들일 필요가 있는 과학 외적인 믿음들 (가령, 비판적 토론의 힘에 대한 신념과 같은 것) 가운데 하나일 수는 없다.

 

 -  Contemporary British philosophy : personal statements / edited by H.D. Lewis. Vol. 3. 




Posted by 김구공룡
,

Holy Layoff

카테고리 없음 2013. 10. 15. 19:40



Sati (혹은 suttee, सती) 는 힌두교의 Sahamarana (따라 죽기) 에 대한 영어 음차로써 힌두교의 미망인이 남편의 장례식에서 산 채로 화장되는 풍습이다. 1813년에서 1825년 사이에 벵골에서만 총 7941명의 여성이 이로 인해 희생되었다. 1823년 9월 27일에 라다비라는 이름의 미망인이 남편의 시체가 놓인 화장용 장작더미에서 두 차례나 달아났다. 그녀가 첫 번째로 불에서 뛰쳐나왔을 때 이미 그녀의 다리는 불에 탄 상태였다. 어쨌든 살 수는 있는 상태였는데, 세 명의 남자에 붙들려 장작더미로 도로 끌려갔고, 그 남자들은 여자가 뛰쳐나오지 못하도록 그녀 위에 장작을 더 던져올렸다. 두 번째에는 ‘피부가 거의 다 탄 채로’ 다시 뛰쳐나와 강에 뛰어들자, 사람들이 그녀를 쫓아와 익사시키기 위해 그녀를 물 속에 밀어넣었다. 


 심지어 음리튠자이 비댤란카르나 람모훈 로이 같은 인도의 힌두교 권위자들마저도 비난했던 이 잔인한 풍습에 대하여 영국인 지배자들은 경악했다. 신드 지방 총독 찰스 네이피어 Sir. Charles Napier. 같은 사람들은 이 ‘종교적 관습’을 금지하면서 인도인들이 이 관습을 고집한다면 영국도 영국의 ‘관습’에 따라 여자를 살해한 남자들을 교수대에 매달 것이라고 명령하기도 했다. (물론 이러한 입장을 취한 것은 주로 영국 복음주의 지도자나 선교사들이었고 영국 내부에서도 ‘인도 고유의 관습’에 간섭하는 것을 꺼리는 초기의 식민 건설자들과의 격렬한 내부 갈등이 있었다)


 문제는 이 ‘관습’의 ‘보편성’ 이다. 처음에는 상위 카스트 힌두교도들의 여성의 경건함과 희생의 상징이었던 사티는 점차 하위 카스트에게도 퍼져나갔다. 이는 특히 가족들이 ‘가난한 미망인을 보살펴야 하는’ 문제를 깨끗하게 해결해 주었기 때문이다. 즉 사티는 종교적 경건의 이념을 쓴 구조조정행위였던 것.


19세기 인도라는 시대적 배경과 영국의 지배 그리고 여성 학살이라는 측면들 이전에 사티에는 경제적 자립 능력이 없는 구성원들에 대한 살처분 행위라는 보편성이 있었다. 이는 2백여년 전 서구들 자신에게도 씌여진 구빈법과 마녀사냥과 방랑자 강제노역 혹은 처분이라는 업보였고 현대 사회에서도 가난한 가정의 영아 살해 등의 형태로 변주되고 있다. 경제적 자립가능성이 기본 인권을 형성할 수 밖에 없는 원리는 21세기 선진국조차도 극복하지 못한 부분인데,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마지막 사례는 바로 낙태일 것이다. 이쯤 되면, 경제권이 곧 인권이자 생명권이라고 보지 못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Posted by 김구공룡
,



 

 John Stuart Mill 의 가설 검증 방법론 (1862) 에 따른 질병 요인 추정

 

(1)   Method of difference: 관찰하고자 하는 사건이 일어난 집단과 일어나지 않은 집단 사이의 차이점. 같은 지역 여성 자궁경부암 발생율이 높은 군과 낮은 군의 차이가 성생활인 경우 이것이 자궁경부암의 발생과 관계 있을 것이라는 가설

(2)   Method of agreement: 사건이 일어난 집단은 동일한 특성. 후천성 면역결핍증 발생 초기에는 마약을 정맥주사한 사람, 수혈자, 혈우병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증상이 혈액을 통하여 전파되는 것이라는 가설 수립됨

(3)   Method of concomitant variation: 연구하고자 하는 사건이 어떤 다른 사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면 후자는 전자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흡연량이 많을수록 흡연기간이 길수록 폐암 발생률이 높아진다면 흡연은 폐암의 주요 원인일 것이라는 가설 수립.

(4)   Method of analogy: 어떤 감염성 질환의 호발연령, 호발계절, 전파방법, 증상 등이 이미 알려져 있는 병과 비슷하다면 이 병의 원인균도 동류(同類)의 것으로 유추 가능.

 

 

 미국에서 백인은 흑인보다 심근경색증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는데, 그 후의 연구에서 백인은 앉아서 일하는 직종에 흑인은 육체운동 직종에 주로 근무하기 때문에 운동부족이 심근경색의 주 위험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Posted by 김구공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