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el the Rent

 

 

사회적 거리두기와 국가 경제의 많은 부분을 폐쇄하는 쌍둥이 처방이 미국의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의 사망자 수를 예상치에서 낮추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사회적 안전망”의 기억이 실제 제공 또는 지원의 원천보다 먼 나라에서, 많은 대중이 이제 기아와 노숙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매주 보호소 지정이 해제된 다음 도시와 주가 어떻게 보일지에 대해 더 많은 질문들이 도달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월세 납부일에 한 주 더 가까워졌다.

 

5 6일까지, 세입자의 20%가 이번 달 집세를 지불하지 못했으며, 이는 그나마도 첫 주의 지난 달 집세 미납 22 %에 비해 약간 개선된 수치이다. 이것은 아마도 세입자들이 실업 및 경기 부양 수표를 받은 덕일 수도 있지만 이는 지속될 수 없다. 주정부는 지불금을 지원할 자금이 부족하다. 한편 몇 주 만에 3,300 만 명이 실업급여을 신청했으며, 수백만이 조만간 그 한계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4월 실업률은 대공황 이후 처음으로 15% 대에 이르렀고 의회 예산국은 가을까지 공식적인 실업률이 16%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 보조, 메디 케이드, 푸드 스탬프 등 다양한 형태의 빈곤 구호 제도가 있지만, 거주 위기에 대해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의지할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 자선 단체나 공공 기관의 긴급 보조금에도 불구하고 다음 달의 집세 납부일을 두려워하는 세입자는 수백만에 달한다. 지난달 시카고 주택국은 집세에 대한 도움이 필요한 2천명의 주민들에게 일회성 1,000 달러 보조금을 제공하자 5일만에 83천 명이 신청했다.

 

정체된 임금의 위기와 집세 상승은 확실히 covid -19 이전에 도래한 문제였다. 미국 세입자 가구의 47%는 이미 “집세비용이 부담”상태 - 월수입 30%이상을 집세에 지출 - 였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라틴계 세입자들은 절반 이상이 이 상태에 해당한다. 25%는 무려 수입의 절반 이상을 주거에 지불한다. 2018 6 월부터 2019 7 월까지 하버드 연구자들은 새 건물의 평균 집세가 1620달러로 2000년 대비 37% 증가했음을 집계했다. 이는 트럼프의 일회성 경기부양 패키지를 넘어서는 금액이며, 사실상 모든 사람들에게 주택은 가장 큰 월 비용요인이다.

 

주택 수요와 비용의 미스매치는 미국 경제의 만성적 특징이었으며, 노동계급이나 빈민층을 위한 주택에는 돈이 항상 없을 것이라는 기본적인 현실이 이 공급부족을 지속시켰다. 이런 역학은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가혹했는데, 오로지 수요공급만이 조절한다는 부동산시장경제 객관성의 환상보다 더 깊이 뿌리내린, 인종차별과 주거분리의 세기 이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재산가치에 실존적 위협이라는 국가적 미신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위기의 근본은 경기 대공황과 주거압류의 눈사태에 더 기인하는데, 수백만의 어려움을 겪는 주택소유자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블랙스톤 그룹과 같은 사모펀드에게 집을 빼앗겼다. 특히 연방정부에 의해 담보대출을 받은 주택들은 30~50%까지 떨이로 매각되었기 때문에 더욱 매력적이었다.

 

이것들은 일견 진입장벽이 낮은 집들이었고, 노동계급 가족들에게도 열려 있는 듯했다. 많은 부동산들이 임대로 바뀌었는데, 즉 소유자 시장으로의 문은 크게 좁아졌으며 유색인종에게 더 취약하게 작용했음을 의미했다. 사유지 소유주의 막대한 재산에 힘입어 그들은 모기지 임대를 이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집세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수리 및 유지보수 투자는 줄어들었으며 월세를 지불할 수 없었던 세입자를 부담없이 퇴거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는 가장 기본적 교환가치로 축소된 주택의 모습이었다. 이 새로운 단독주택 임대시장을 개발하는 많은 주요 업체들은 트럼프 행정부와 그 주변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압류 왕'으로까지 불렸던 Steven Mnuchin은 지금 행정부의 재무부장관이다. 이 백악관의 제대로 된 공공주택 정책이 왜 없는지 아직도 궁금할 필요가 있을까.

 

2011~2017년간 4백만 호의 "저비용 임대" 주택은 멸실되고 재건축되지 않았다. 나머지 저비용 주택의 40% 이상이 50년이 넘은 노후주택이다. 필라델피아에서는 수백 채의 공동주택과 다세대가구들이 '인간의 거주에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지만 여전히 수백 노숙인에 대한 '최후의 수단'으로 남아 있다. 노숙의 증가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저렴한 주택을 찾아 몰리는 남부로의 역이민 뒤에는 시장경제의 압력이 있었는데, 그러나 현재의 이러한 경제 상황에서 피난처는 없다. 세입자에 대한 보호조치는 빈약하고 집세는 높아 남부지역 전역에서 퇴거가 급증해서 10대 퇴거 도시 중 9개가 남부에 있으며 이 중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30% 이상을 차지했다.

 

이제 추가로 수천 명 이상이 집세 부담과 재정적 어려움에 처할 위험에 놓여 있다. 위기의 크기를 인지한 일부 집주인들은 세입자와 공존을 노력했지만, 더른 지주들은 이 급작스러운 실업과 주거취약으로부터 이득을 취했다. 어떤 지주들은 자물쇠를 바꾸거나 거주자의 소지품을 제거하고 폭력, 협박을 동원하여 세입자 퇴거를 압박했고 일부는 성적으로 세입자를 착취하기도 했다. 법원이 문을 닫고 지지자들의 자신의 역량에 따라 집에 머물 것을 지시하는 지시서는 세입자에 긴급 주거 지원을 제공할 긴급성을 증폭시켜서 집세 청구 및 부채 처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연방정부의 개입으로 주택 소유자에게는 모기지 상환 지연으로 연방 보증 모기지 주택에 대한 즉각 압류를 제한하는 약간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연방 보조를 받은 세입자 퇴거에 대한 유예도 있었으나 이 혜택을 받은 이는 대상의 25% 가량에 불과했고 대부분의 세입자들은 집주인 저당의 상태를 알기도 어렵다.

 

지역 및 연방 정부의 불완전한 늑장 조치로 늦여름까지 수십만 건의 퇴거 및 압류가 발생하면 새로운 감염 웨이브가 증폭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이것이 과장이라고 생각하면 필요한 주의조차 기울이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빈곤이 바이러스의 촉진제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으며, 퇴거는 미국 빈곤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다. covid -19에 이미 감염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9%도 이미 비용 우려 때문에 검사와 치료를 꺼리고 있다. 차압과 퇴거의 압력을 직면하면 이 숫자는 더 커질 것인데, 노숙인 보호소는 이미 주요 감염스팟이기도 하다. 수십만 가족을 길바닥으로 내몰면 그 불씨에 휘발유를 붓는 꼴이 될 것이다.

 

이 모든 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 연방 정부는 분명히 구제 금융이 무슨 의미인지 알고 있다. 연방 정부의 조용한 조치는 행동불능과 혼동하면 안 된다. 몇 주 동안 의회는 1 조 달러에 달하는 구제 금융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대부분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다. 기업 구제 금융의 전제는 기업들이 사람들을 고용하여 돈을 대중에게 재분배할 흐름에 대한 기대이지만, 그것은 강제가 아니고 진짜로 작동할 것이라고 믿을 보장도 없다. 3 월 말, 의회가 유나이티드 항공 (United Airlines) 50 억 달러 이상을 보내는 구제 금융 법안을 통과시킨 지 불과 몇 시간 만에, 기업은 이 자금이 소진되면 가을에 정리해고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기업 경기 부양책은 감독 약관이 매우 약했기 때문에 앞으로 더 큰 문제가 닥칠 수 있다.

 

기업들에 들어가는 수십억 달러가 세입자와 주택소유자들에게로 돌려진다면 주택위기를 진정시킴과 동시에 진정한 경기부양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러나 그 대신 수조 달러의 재원이 코로나 구호, 경제 구호 (cares) 법안에 동원되면서 120억 달러를 주택 및 도시 개발국에 배당되었고 이 중 노숙인 긴급수용 40억 달러도 포함되었는데, 이는 잘한 정책이지만 평범한 수백만 시민이 직면한 엄청난 거주 재정 위기의 고통에는 달하지 못하는 수준이다. 나머지 8백억 달러는 기존 주거 보조 프로그램에 추가지원될 것인데 이는 전체 부족분에 비하면 시작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세입자들은 이러한 뒤틀린 공공부조 시스템의 도움을 얻지 못하고 사유 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이 비율의 위기는 두 가지 옵션을 제시하고 있다: 만성적 주택 부족, 인종 차별 및 퇴거와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소수만을 풍요롭게 한 기존의 길을 계속 따라 가든지, 아니면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사람들을 집에 머물 수 있게 하고 가난한 이들과 노동계급을 위한 새로운 주택에 투자하든지. 1944년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은 “유용하고 보수가 좋은 직업, 적절한 의료 서비스, 좋은 교육 및 좋은 집”을 모든 미국인에게 보장되어야 할 제 2권리 장전으로 제시하였다. 루즈벨트에 따르면, 이러한 권리는'경제적 안보와 독립 없이는 진정한 개인의 자유가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한 분명한 실현'에 근거한 것이기도 하다. 이듬해 Harry S. Truman 대통령은 이러한 '권리' '목표'로 하향 조정했지만 '모든 사람을 위한 적절한 주택 기준은 현대 문명의 의무 중 하나'라고 결론을 내렸다. 1949년 주택법 (Housing Act) '모든 미국 가정에 알맞은 주택과 적절한 생활 환경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이며, 모두에게 알맞은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이보다 시급한 적이 없었다. 오늘날, 이는 가족이 집에 머물 수 있도록 집세 및 모기지 빚을 취소하기 위해 국가의 자원을 투입함을 의미한다. 일부 선출직 정치가들은 긴급히 그리고 적절히 대응했다. 버니 샌더스 상원 의원은 집세 및 모기지 상환 취소를 요청했다. 3, 전 부통령 조 바이든 (Joe Biden)도 집세 지불을 취소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일한 오마르 (Ilhan Omar) 대표 는 대유행 위기 기간 동안 집세 및 모기지 상환을 취소하는 연방 법률을 도입 했으며, 임대인과 대출 기관을 상환하기 위한 기금을 조성했다.

 

그러나 감염의 피해가 최악인 주들 중 일부 자유주의는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해결책만을 제공했다. 캘리포니아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대처로 높이 평가받은 개빈 뉴솜 주지사는 퇴거 유예를 강요하지 않았으며, 이를 각 지역에 일임해 버렸다. (그는 이후 세입자가 퇴거 소송에 저항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지만 “전적으로 쓸모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부 도시는 집세 납부 유예 조치를 받았지만 납부곤란에 covid-19인과를 증명하라는 말도 안되는 요구 사항 조건부였다.

 

애틀랜타에서 Keisha Lance Bottoms 지사는 경제 영향을 포함하여 전례없는 위기의 본질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극적인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은 "많은 사람들이 유급 휴가를 받을 수 없고 단지 한 두 주의 임금 손실만으로도 식료품과 집세를 지불할 수 없을 것임을 인지하고 모든 정부는 거주민의 주거안정성을 위해 집세 지불을 유보조치해야 할 것을 또한 선언했다. 이 모든 통찰력에도 불구하고 그 유예는 결국 공공주택 및 공공부조 주택에만 적용될 수 있었다.

 

시카고 Lori Lightfoot 시장은 “주택 연대 서약 (Housing Solidarity Pledge)”을 통해 집주인과 대출 기관이 자발적으로 집세 상환 계획에 동참할 것을 독려했다. 은행, 집주인 및 부동산 이익을 대표하는 17개 단체가 서약에 서명했지만, 시장이 세입자가 임대 부채를 상환하기 위한 “임차인의 의무를 충족” 할 것을 전제했기 때문에 일부 세입자 단체는 이를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세입자의 권리 운동가들이 말하듯, TLC 자산 관리는 Lightfoot의 서약에 서명했으나 수십 건의 퇴거를 강행했다. 일리노이 주지사 JB Pritzker 3 20 일 이후 시카고와 그 근교 전체에 대한 퇴거 유예를 선언했다. 활동가들은 집세 통제 금지 법안을 해제하고 유예에 대한 모기지 상환 조건을 삭제할 것을 주지사에게 요구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주택의 공급과 수요 사이의 긴장은 세입자 노조, 집세 파업 및 주택 정의 확보를 위한 기타 이니셔티브의 형성에 영감을 주었다. Harlem 주민들이 쥐들의 범람으로 인해 집세 파업을 조직하고 Chicago Freedom Movement Martin Luther King, Jr.와 함께 시카고에서 세입자 “슬럼가에 대한 노조”를 조직하는 것을 도왔던 1960년대는 세입자 운동주의의 마지막 큰 물결이었다. 이러한 노력은 더 광범위한 연대의 작은 부분일 뿐이었는데, 1968년 공정 주택법 (Fair Housing Act)의 통과로 주거 차별 종식과 아프리카 계 미국인을 비롯한 모든 시민들에게 전체 주택 시장을 개방하는 전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결국 집주인과 부동산 산업이 거주 격리를 영속시키는 데에 깊이 투자했기 때문에 이 법은 목표를 이루는 데 실패했다. 임대 및 구매자 시장의 분리는 독점적인 백인 이웃에 계속해서 재정 가치를 부가하는 반면, 노후되고 파손된 흑인 거주 지역은 여전히 ​​아프리카 계 미국인이 포획된 시장이기 때문에 더 비싼 집세를 부과했다.

 

그 이후로 세입자 행동주의는 지속되었지만, 거의 지역적으로 지향되어 단편화되었다. 일반적으로 집세 파업 및 세입자 조직은 단일 건물이나 또는 특정 집주인으로 한정되었다. 주요 임대인의 경우 때때로 여러 건물을 포함하여 인근 지역에 대한 집세를 삭감할 수 있지만 이러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제한적이다. 이 행동주의에 대한 반응은 구호를 원하는 여기에서 일종의 구제책을 요구하는 현지 법령과 다른 수정을 요구하는 다른 지역 규칙과 함께 혼합되어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주택 정책은 주택에 대한 압도적인 수요에 비해 소규모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좁은 사업성 토론에 갇혀 있다. 실용주의의 족쇄는 미국의 주택과 개발에 대해 절실히 필요한 큰 아이디어의 호흡을 차단하고 있다.

 

오늘닐 발생하는 조직은 다르다. 집세 채무가 취소 및 탕감되고 채무 기록이 면제되도록 연방정부가 막대한 자원을 동원하여 세입자들을 구출해야 한다. 세입자과 집주인들의 물리적 집회는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불가능하지만 주거임대 부담을 줄이려는 파업은 4월부터 지속되고 있다. 미주리 주 캔자스 시티에서 버지니아 주 리치몬드까지 그 밖의 지역 조직자들은 수백만 세입자들의 집세를 동결 또는 지불정지하고 연방정부가 이 채무유예나 탕감에 협조하도록 하는 전례없는 시도에 도전하고 있다.

 

뉴욕시와 필라델피아에서는 'Housing Justice for All' 'Philadelphia Tenants Union'을 포함한 단체 주도로 큰 파업이 발생했다. 주최측의 목표는 백만 참여자들의 주거집세 지불을 정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주최자인 Cea Weaver는 이 상황이 매우 끔찍하지만 또한 고무적이라며, 100여 년 전 뉴욕 주 최초의 집세 통제 법에서 공공 주택 정책 등에 이르기까지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우리가 완전히 다른 세상을 구상하기 위해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순간 바로 이 때입니다.

 

이러한 요구들은 하루아침에 나온 것이 아니었다. 대공황시대 이어지는 주택압류들은 가족들이 집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퇴거 방어 운동을 지역사회단체들에 불러일으켰다. 마이애미에 본사를 둔 Take Back the Land Chicago Anti-Eviction Campaign과 같은 조직은 퇴거조치에 저항하고 빈 집을 점유하여 노숙하는 사람들을 위한 주택을 확보하는 운동으로 유명해졌다. 또한 빈곤층과 노동 계급 가족을 소외시킨 주택 개발의 이권 모델에 투쟁하려는 기타 지역 사회 운동이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테크 붐이 경기버블을 일으킨 오클랜드에서 지난 12 , 4 명의 아이를 가진 아프리카계 미국인 싱글 어머니가 Wedgewood, Inc.라는 부동산 회사가 매입하여 단지 시세차익만으로 노리고 비워둔 빈 집을 점유했다. '일단 투자하고 나중에 (차익) 매도하세요'라는 광고 붐에 따라 수많은 집들이 투기의 대상이 되었는데, 2012년에서 17년간 주거월세는 50%증가하고 이에 따라 늘어난 노숙인 중 7할이 흑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어머니-운동가들이 지적하듯 오클랜드에는 빈 집이 노숙인구보다 더 많다. 1월 초 판사는 이 4아이 어머니가 집을 점유할 권리가 없다고 판결하고 이에 따라 주 경찰타격대가 건물을 습격하여 가족들을 끌어내고 체포하였다. 이에 대한 반발여론과 국제적 연대운동의 압력이 있고 나서야 Wedgewood사는 집을 공동체의 토지신탁에 대한 주택매매 합의에 겨우 동의했다.

 

LA에서는 오클랜드와 마찬가지로 시세차익을 노리며 수천 호의 주택이 비어 있는 한편 노숙인구는 3 5천에 달한다. Reclaimers라는 이름의 라틴계 주거운동그룹은 '시와 주 정부가 빈집을 즉시 수용하여 노숙인들을 수용할 것'을 요구했고 곧바로 주인들은 이들을 퇴거 요구했다. 한편 일부는 월세 급등으로 살던 집에서 쫓겨나 차에서 살기 시작했다. covid -19에 대한 위협에 주 정부가 주민들로 하여금 집에 머물 것을 지시하면서 이들은 고속도로 호재를 노리고 비워둔 집 11호를 점거하기로 결심했다. "이 땅은 공유지이기도 합니다. 우리 납세자의 집이기고 하고 당신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비용을 지불한 거라고요. 합리적인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공공선을 위한 일 아닌가요" 세 아이의 어머니인 Ruby Gordillo는 항변한다.

 

앞으로 몇 주와 몇 달에 걸쳐 퇴거 엔진이 휘젓기 시작하면, 이러한 창의적인 거주자 운동의 살계가 더 필요해질 것이다. 자신들의 잘못도 아닌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재정적 불황으로 사람들을 길거리로 내모는 짓은 명백히 터무니없는 조치이다.

 

집세 구제와 공평한 구조법에 대한 필요는 넓은 범위에서 같은 상상력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 지난 11 월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 테즈 (Alexandria Ocasio-Cortez)와 버니 샌더스 상원 의원은 의회에서 공공 주택에 대한 그린 뉴딜 도입을 제안했는데, 그 당시에는 완전히 유토피아적으로 받아들였지만 지금은 이마저도 너무 때늦어 보일 지경이다. 이 계획은 공공주택 백만 호를 개보수하고 친환경화하기 위해 72억 달러 지출을 요구한다. 지역정부가 공공주택의 사유화를 허용하면서 공공주택정책은 악화되었다. 이 주택에 투자하고 공공성을 유지하면 수천 개의 일자리와 질좋은 노동계급 주택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었다.

 

또한 국민행동(Peoples Action)이 제안하는 주택 보증이 있는데, 저렴한 연합주택 건설에 수조달러를 투자하여 1,200만 공공주택 건설, 세입자 권리 장전 도입, 부동산 투기 및 주택의 지속적 상품화를 제한하는 규제와 과세를 요구한다. 또한 아메리카 원주민,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거주 퇴거나 이주, 재개발 및 거주 차별로 인한 재정적 피해 배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안들은 주택정책이 어떻게 보여지고 그렇게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상을 완전히 재구성하는데, 이러한 아이디어가 비현실적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은 시장경제만으로 주택수요에 대한 공급을 갑자기 맞추는 건 현실적인지 답해야 한다. "거주 보장 정책의 기본 이념은, 주택에 대한 시장경제 실패가 너무 근본적이어서 시장이 스스로 자정되기를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주거보장 운동가들은 말한다.

 

주거보장운동의 핵심 요구사항에는 기존 및 향후에 대한 임차채무의 철회와 탕감이 있다. 수백만 세입자들에 대한 월세 독촉은 그 미납분이 격리 및 영업 중지 명령에 의해 발생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명분이 없다. 악화되는 경제상황에서 기업을 구제하기 위해 수조 달러를 지출할 수 있다면, 마찬가지 조치를 가난한 노동자 가족들에게 확장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전염병에 맞서싸우는 수백만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건 공치사와 공허한 영웅만들기가 아니라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거 불안으로부터의 보호와 구제이다.

 

인간의 거주에 대한 권리와 시장에 기반한 경제가 최고가격을 채택하려는 주택공급 사이에는 본질적 갈등이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이 구조에 대한 근본적 변혁이 있다. 육군 공병대가 밤새 covid -19 명의 환자를 위한 현장 병원을 건설할 수 있다면 왜 새로운 주택은 건설할 수 없나?

 

필라델피아와 볼티모어, 시카고와 디트로이트에서 왜 낡고 버려진 주택과 건물들의 용도를 변경하여 개조하고 재건축하여 집세 급상승을 막고 흑인과 유색인 노동자 계급 가족의 구축과 배제를 방지할 수 없는가? 우리는 시장경제가 땅, 콘크리트, 강철 및 유리를 돈으로 바꾸면서 사람들을 길바닥으로 내모는 이상한 연금술을 되돌려야 한다.

 

우리가 부적당하고 부끄러운 수준의 주택정책에 계속 붙잡힐 경우 도래할 암울한 미래는 이미 수십만의 가난한 노동계급 세입자들이 모기지 주택소유자들이 퇴거당하여 길바닥으로 내몰리고 2~3배 높은 사망률에 노출되는 위험이며 이미 대로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우리는 집세와 모기지 상환 납부 실패가 사실상 사형선고를 (특히 유색인종들에게 불공평하게 더) 내려야 할 죄인지를 되물어야 한다.

 

Posted by 김구공룡
,

IT’S TIME TO BUILD

 

그 많은 사전 경고에도 불구하고 서구권은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에 대비하지 않았다.  Institution 에 대한 이 엄청난 실패는 향후 십여 년의 상흔을 남길 것이며 대체 왜 이렇게 되었는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묻기에는 지금도 전혀 이르지 않다.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한 정당이나 또 다른 정당 또는 어떤 몇몇 정부를 집어 탓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냉정히 말해 서구 국가들과 주 및 도시들 전체가 준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관들 내의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엄청난 희생을 겪었음에도 모든 것이 실패했음이 가혹한 진실이며 우리가 선호하는 당파적 문제나 고국의 문제보다 더 깊은 근원으로부터 문제는 출발한다.

문제의 일부는 명백히, 예지력과 상상의 실패이다. 그러나 문제의 다른 많은 부분은 우리가 그냥 사전에 하지 않은 것들과 지금 우리가 하지 못하는 것들이다. 그것은 오로지 실천의 실패이며 특히 건설 build 할 수 없었던 광범위한 능력들이다. 

우리는 오늘날 절실히 필요하지만 가지고 있지 않은 많은 것들을 목격하고 있다. 우리는 바이러스 테스트 키트와 도구 – 놀랍게도 단지 면봉과 평범한 시약 등을 포함해서 – 그리고 인공호흡기, 음압실 및 ICU 병상이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수술용 마스크와 보안경 및 의료용 가운이 부족하며 이 글을 쓰는 동안에도 뉴욕시는 의료가운을 대신할 우비 판초를 절실히 요청했다. 우비 판초라니! 2020년 미국에서?!

또한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수년간의 사전 경고에도 불구하고 치료법이나 백신은 없다. 아마 우리 과학자들이 다행히도 치료법과 백신을 개발해낼 지도 모르지만, 수요를 확보할 제조공장이 없을 수도 있다. 2014년 에볼라가 발병한 이후 정식 임상 허가를 받는데 5년의 시간과 수많은 인명을 들여야 했다. 

미국에는 연방 구제 금융을 급한 사람들과 사업체에게 제공할 능력이 없다. 수천만 해고 노동자와 그 가족 그리고 수백만 소기업들이 시급하고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는데 적시에 자금을 이체하는 시스템도 없다. 매년 모든 시민과 기업으로부터 돈을 모으는 정부는 가장 필요할 때 우리에게 돈을 분배하는 인프라를 구축하지도 못했다. 

대체 왜 이 모양인가? 의료 장비 및 금융 파이프라인에 무슨 로켓과학 엄청난 물리학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치료법이나 백신까지는 몰라도, 마스크를 만들고 돈을 이체하는 작업이 이론적으로 어려운 건 아니다. 우리는 이런 것들을 할 수 있었지만 단지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정확히 말해, 우리는 이런 것들을 만드는 메커니즘, 공장, 인프라를 갖지 않기로 결정했다. 우리는 BUILD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어리석고 안일한 현실 외면은 도시와 주택의 물리적 발자국에서, 그리고 서구 생활의 전체 – 특히 미국에서 – 볼 수 있다. 우리는 막대하게 상승한 경제력을 갖고서도 샌프란시스코와 같은 도시에 필요한 주택을 건설하지 않기로 하여 주거비는 폭등하고 보통 사람들이 필요한 곳에 이주하여 미래의 일자리를 얻는 순리를 만들지 않았다. HBO의 "Westworld" 제작자는 도시의 미래상을 그리고 싶었지만 미국의 시애틀이나 로스엔젤레스, 오스틴에서 모델을 찾을 수 없어 싱가포르까지 가야 했다. 우리는 우리의 현재를 넘어서는 빛나는 초고층 빌딩과 괜찮은 생활환경을 갖추어야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교육을 보자. 우리는 최고급 대학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입학하는 4백만의 18세 학생들은 전세계의 1.2억 동년배들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 모든 아이들을 교육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 아닌가? 왜 우리는 더 많은 대학을 짓고 기존의 대학들을 확장하지 않는 건가? K-12차 교육의 마지막 혁신은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몬테소리’였다. 그 이후로 50여년간 우리는 전혀 실용적이지 않은 교육만 연구해 왔다. 왜 우리는 그간의 경험과 연구를 통해 일대일 튜터링의 효과를 검증하고, 인터넷을 가졌으면서, 이 더 나은 지식들로 학교를 개선하지 않는 것인가? 

제조업을 보자. 과거의 지혜와는 다르게, 미국의 제조업 생산량은 역사적으로 최대치이지만, 왜 이렇게 많은 공장들이 수공업들이 역외로 이전되어야 했는가? 우리는 고도로 자동화된 공장을 건설할 줄 안다. 그것들을 설계하고 건설하고 운영하면서 수많은 고급 일자리들이 창출될 것임도 안다. 우리는 그것을, 핵심 재화들을 오프쇼어에 의존하는 전략적 문제를 알고 있고 실제로 겪고 있다. 왜 우리는 우리 나라 전체를 통해 엘론 머스크의 ‘에일리언 드레드노트’ (모든 종류의 제품을 고품질 저가격으로 생산해내는 거대하고 번쩍이는 최첨단 공장) 들을 짓지 않는 것인가?

교통을 보자. 초음속 항공기는? 수백만 대의 드론은? 고속열차와 모노레일, 하이퍼루프, 그리고 비행하는 자동차는 어디에 있는가?

문제가 돈인가? 우리가 중동에서 끊임없이 전쟁을 벌이고 현존하는 은행과 항공사와 자동차 제조사들을 몇번이고 구제할 돈이 있었던가? 연방정부는 이제 막 2조달러의 코로나바이러스 구제금융 패키지를 통과시켰다. 문제는 자본주의인가? 니콜라스 스턴과 나는 자본주의야말로 우리가 모르는 사람들을 돌보는 길이라고 말한다. 이 모든 분야는 이미 수익성이 높고 투자자와 고객 모두에게 주요 투자처여야 한다. 기술적 역량이 문제인가? 우리가 이미 집들과 마천루와 학교와 병원과 자동차와 철도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데도?

문제는 욕망이다. 우리는 이들을 ‘원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관성이다. 우리는 이런 것들을 막기보다 원해야 한다. 문제는 규제의 구축이다. 우리는 기존 기업들이 그것들을 좋아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기업들이 이들을 건설하도록 해야 한다. 현존 기업들에 압력을 가하더라도. 문제는 의지이다. 우리는 이것들을 지어내야 한다.

우리는 필요한 것들을 짓기 위해 이념과 정치로부터 명령을 분리해내야 한다. 양측 모두의 기여가 필요하다. 권리는 자연발생적이지만 자주 타협된다. 권리는 제조를 선호pro production 하지만 너무 자주 시장기반 경쟁과 건설을 방해하는 세력들에 의해 손상된다. 권리는 고객친화적 투자자 친화적 혁신이 아니라 협잡 자본주의, 규제 포획, 골수 독과점, 리스키한 아웃소싱 그리고 투기 친화적 환매와 맞서 싸워야 한다.

우파들은 적극적인 투자의 권리로부터 출발하여 새로운 제품, 새로운 산업, 새로운 공장, 새로운 과학, 큰 도약에 대한 온전한 비 종교적이고 타협하지 않는 지지를 모을 때이다. 
좌파들은 많은 지역에서 공공 부문에 대한 강한 선호에 대해 우수한 모델을 증명함으로써 시작해야 한다. 공공 부문은 더 나은 병원, 더 나은 학교, 더 나은 교통 수단, 더 나은 도시, 더 나은 주택을 지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늙고 완고하며 무관심한 사람들을 보호하려 하지 말고 공공 부문을 미래에 온전히 헌신하도록 해야 한다. 밀턴 프리드먼은 한때 공공 부문의 실수가 정책과 프로그램을 결과보다는 의도로 판단하는 것이라고 잘못 말했다. 그것을 모욕으로 여기는 대신 도전으로 받아들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결과를 보여주어야 한다. 

공공 부문 의료의 새로운 모델이 저렴하고 효율적일 수 있음을 보여야 한다: VA로 시작하는 건 어떠한가? 하버드와 같은 사립 대학조차도 공공 자금이 풍부하다. 왜 연간 10 만 또는 1 백만 명의 학생들이 하버드에 다닐 수 없는가? 규제 당국과 납세자들이 하버드 확장을 요구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후변화 재앙 또한 건설로 풀어야 한다. - 에너지 전문가들은 지구상의 모든 탄소 기반 전력 생산이 수천 개의 새로운 원자로로 대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를 구축하자. 아마도 우리는 10 개의 새로운 원자로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은 100 개 이상을 지을 수 있을 것이다.

건설은 아메리칸 드림을 재건하는 방법이다. 컴퓨터와 TV 등 우리가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들은 단가도 급격히 떨어졌다. 주택, 학교, 병원과 같이 우리가 짓지 않는 것들의 가격은 급등했다. 아메리칸 드림은 무엇인가? 자신의 집과 가족을 갖는 것 아닌가? 우리는 모든 미국인이 아메리칸 드림을 실현할 수 있도록 주택, 교육, 헬스케어에 대한 급등하는 가격 곡선을 깰 필요가 있다. 

건설은 쉽지 않거나 이미 할 수 있는 것들을 하고 있다. 우리는 정치 지도자, CEO, 기업가, 투자자들에게, 우리 서로에게 더 많은 문화와 사회를 요구해야 한다. 우리는 모두 필요하며 건설에 기여할 수 있다.

모든 단계에서, 우리 주변의 모든 사람들에게, 우리는 질문을 해야 한다. 당신은 무엇을 짓고 있는가? 무엇을 직접 구축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만들도록 돕거나 건설하는 사람들을 돌보고 가르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서로를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위치와 직업으로 데려 가야 한다. 가장 망가진 시스템에도 항상 뛰어난 인재가 있다. 우리는 가장 큰 문제에 대해 가능한 모든 재능을 얻고 그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만들어야 한다. 

Posted by 김구공룡
,

The world is entering a new era of sovereign-debt management

 

지금은 정부 부채에 대해 걱정할 때가 아니다. covid-19 감염자가 급증하고 경제활동이 경색되면서 정부들은 전염병의 인적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투입함이 옳다. 이 긴급함에도 불구하고 위기는 국가채무 sovereign debt 의 부담을 새로운 영역으로 이끌 것이다. 지난 세기 전 세계의 주요 위기는 종종 정부의 대규모 차입과 이에 대한 채권자들을 다루는 방식의 (종종 급진적으로) 변화로 이어졌다. covid-19과의 전쟁이 특별한 예외는 아니다. 현재 구축되는 중인 경제 대책은 금융위기 때의 그것을 능가할 것으로 미국의 계획은 GDP의 10%를 초과할 것이다. 생산과 수입에 대한 세원 손실은 더 클 수 잇다. 적어도 몇몇 국가들은 부채 부담이 GDP의 150%를 넘어설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 수백년간 정부 차입의 역사는 크게 3가지 기간으로 나눌 수 있다. 양차 세계 대전 사이의 갈등과 대공황은 모두 정부의 대차대조표에 막대한 부담을 지웠다. 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정부는 종종 시장의 자비에 의지해야 했는데, 영국은 1차 대전 직후 GDP의 140%까지 증가한 부채를 가혹한 긴축정책으로 상환하여 시장 신뢰를 유지하려 애썼다. 정부는 1920년대 내내 GDP의 7%가량을 일차 예산 잉여금 (순 이자 비용)에 할당했다.
결과는 비참했다. 긴축은 경제 성장을 약화시켰다. 1928년의 생산량은 1918년의 생산량보다 낮았다. 그 결과 부채는 오히려 증가하여 1930년 GDP의 170%에 도달했다. 이런 고통스러운 경험에 근거하여 John Maynard Keynes는 '이 비용이 올바르게 지불되지 않은 건 분명하다'고 썼다. 더 절망적인 조치를 강요받은 경제들은 더욱 악화되었다. 전쟁으로 약화되고 부채의무를 이행할 수 없었던 독일은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빠졌다. 통화가치의 파괴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막대하게 치르면서 부채비율도 129%까지 줄이기는 했다. 디폴트가 횡행했고 1933년에 들어서는 채무불이행이나 부채 구조조정에 처한 국가들이 전 세계 GDP 의 절반에 달했다.

2차대전을 경험하면서 선진국 정부들은 다른 접근법을 시도했다. 지난 30년간의 트라우마 후 긴축은 더 이상 누적된 부채를 다루는 정치적으로 가능한 수단이 아니게 되었다. 일부 국가는 전후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거나 채무불이행을 선언했다. 다른 정부는 재정적 억압을 택하면서 채권자들에게 덜 매력적인 대출로의 전환을 강요했다. 전쟁 동안 갈등을 억압하는 많은 정책적 도구가 채택되엇다.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은행이 국채를 매입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수익률이 상승하는 것을 막았다. 정부는 또한 이자율과 은행 대출도 제한했다. 자본 통제로 인해 저축은 해외에서 더 많은 수익을 추구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기관과 가구는 최저시장금리로 정부에 대출해야 했다. 전시 가격 통제가 완화되면서 인플레이션은 소폭 상승했고 정부 부채에 대한 이자율도 수십년간 물가상승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하버드 대학의 Carmen Reinhart와 IMF 의 Belen Sbranciad의 연구에 따르면, 1945~1980년 기간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동안 선진국 정부의 부채 이자율은 실잘적으로 마이너스였다; 영국 -1.7%, 프랑스 -6.6%. 1946년에서 1961년 사이 미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68% 감소했다. 모든 선진국의 GDP 부채는 1970년대에 25%로 떨어졌다. 

1970년대에 세 번째 시대가 시작되었다. 선진국 정부는 자본 흐름과 금융 시스템에 대한 통제력을 완화하여 세계 자본 시장의 자비에 맡겼다. 1980~90년대 채권 시장이 때때로 정치인들을 압박했지만, 이들의 두려움은 천천히 힘을 잃었다. 글로벌 금융통합은 투자 대비 저축이 증가하고 통화가 안정된 부유한 국가의 채권이 제공하는 안정성에 대한 수급도 일치했다. 부채 부담이 커지면서도 차입 비용은 꾸준히 감소했다. 세계 금융 위기는 이런 추세를 더 강화했는데, 부유한 국가들의 공공부채는 2007년 GDP의 59% 에서 2013년 91%로 증가했는데도 이들 국가의 정부는 지난 10년간 제로 또는 마이너스 금리로 차입할 수 있었다.

Money printer go brrr

Covid-19는 앞으로 더 많은 빨간 잉크(자금 상실 위험)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새로운 주권부채(sovereign debt)관리 시대가 시작될 수 있다. 이 시대가 무엇을 가져올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전염병 후의 부채 제도는 전쟁 직후의 그것과 비슷할지도 모른다. 이 시련은 기술 및 인프라에 대한 새로운 투자 웨이브를 일으켜 가용 저축과 높은 정부 차입 비용의 경쟁을 유발할 수도 있다. 국경 폐쇄로 상품과 자본 장벽이 높아질 경우 규제를 통해 정부들은 비용 급등을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대유행으로 인해 (경제)성장이 다시 시작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중앙은행은 경제난을 막기 위해 이미 대규모로 정부 부채를 매입하고 있다. 연준은 국체를 무제한으로 구입하고 있고, 유럽 ​​중앙 은행 (European Central Bank)은 최근 7,500 억 달러의 채권 구매 계획을 발표했다. 회복이 부진하면 중앙 은행이 지속적으로 갓 인쇄 된 현금으로 대규모 재정 적자를 조달할 수 있다. 일본의 경험은 한 때 이상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더 광범위하게 채택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대규모로 자금을 조달한 차입 경험은 부채 한도에 대한 대중적인 아이디어를 변하게 한다. 위기가 룰북을 다시 쓴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Posted by 김구공룡
,




1794년 코시취우쉬코의 봉기에서 1863년 1월 봉기에 이르기까지 슐라흐타와 애국적 인텔리겐챠가 주도한 낭만적 민족운동의 시기는 막을 내렸다. 이 4차례의 민족봉기가 결론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1  19세기의 민족운동을 그 출발점에서부터 규정한 폴란드 슐라흐타의 계급적 이기주의와 배타주의는 운동을 닫힌 구조로 만들었다. 그 결과 이들은 민족 구성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 계급을 끌어들여 민족운동의 주체적 역량을 강화하는 데 실패했다. 서구 열강의 무력간섭에 기대어 독립을 회복하겠다는 온건파의 발상은 아이디어의 빈곤이라기보다는 사실상 사회개혁적 전망을 결여한 데서 온 불가피한 것이 아니었나 싶다. 이는 프랑스의 부르주아가 민족 개념을 제3신분 전체로까지 확대하고 봉건제 타도의 개혁강령을 제시함으로써 수직축에서의 진보적 민족통합을 이룩한 것과 명백히 대조적이다. 19세기 크로아티아의 민족운동에서도 드러나듯이, 봉건귀족이 주도하는 민족운동은 결국 자신들의 계급적 이기주의 때문에 <인민> 을 포괄하는 근대적 국민국가에 대한 역사적 전망을 결여함으로써 수직축에서의 진보적 민족통합을 이루는 데 실패했던 것이다.


2. 봉건귀족의 민족운동이 지닌 구조적 취약성과 폐쇄성은 운동의 이념적 측면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동유의 민족운동에서 민족의 과거에 대한 낭만적 이상화나 비합리성으로 무장한 보수적이고 반동적인 이념적 요소들을 지적한 한스 콘이나 헤이즈의 주장은 이 점에서 일정한 타당성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서유럽과의 문화적 혹은 사유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봉건귀족이 주도하는 민족운동이 지닐 수 밖에 없는 계급적 한계와 구조적 취약성을 반영한 것일 뿐이다. 개혁적 사회강령으로 기층민중을 끌어들일 수 없었던 이들에게 남겨진 대안은 혈통, 언어, 종교, 문화 등 민족 형성의 객관적 동질성의 신화에 호소하는 길뿐이었다. 그것은 정치, 사회, 경제적 해방의 메시지를 유보하면서도 즉 봉건귀족의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고 기층민중을 민족투쟁에 동원할 수 있는 이념적 방편이었다. 물론 민족적 메시아주의는 공상적 사회주의 혹은 유토피아 사상과 결합됨으로써 운동의 조건 여하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진보적 이념으로 발전해 갈 수 있는 여지는 있었다. 따라서 동유럽의 낭만적 민족주의가 갖는 이념적 보수성에 대한 한스 콘 등의 비판은 일반화의 수준이 아니라, 봉건귀족이 주도한 민족운동에 한해서만 유효할 뿐이다.


3. 봉건사회의 또 다른 대안 세력인 농민 계급이 봉건귀족을 대신하여 민족운동의 주체로 나선다는 것은 근원적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소규모 농지에 뿌리박은 자기 충족적 경제생활, 자기 지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뿌리깊은 애착 등은 농민들에게 지방적 충성심의 차원을 넘어 민족의식이 발전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지 않았다. 근본적으로 농민들은 <정치적 민족>의 궤도 바깥에 존재했던 것이다. 더욱이 봉건귀족과의 계급적 대립은 이들을 농노신분에서 해방시켜 준 이민족 황제의 편에 서게 했고, <군주정의 수호자 monarchy-dobrocz-ynczy>로 만들었다. 요컨대 폴란드 농민들의 의식은 촌락공동체에 대한 충성이라는 파편화된 분궍의와 이민족 황제에 대한 충성이라는 제국적 보편주의에 묶여 있었다. 이것은 19세기 오스만 투르크의 지배 아래서 농민민족주의를 발전시킨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경우와 대조적인데, 발칸의 농민민족주의야말로 오히려 예외가 닐까 한다. 즉 그것은 토착 봉건귀족 대신 이민족 국가가 직접 지주의 역할을 했던 지역적 특수성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오스만 투르크의 국가농노제에 대한 발칸 농민들의 계급투쟁은 자연스럽게 민족투쟁으로 전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4. 이상의 구도에서 볼 떄, 봉건제가 엄연히 사회적 총관계의 기본 질서로 존재하는 한 민족운동이 기층민중을 아우르는 열린 운동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19세기의 낭만적 민족운동에서 나타난 폴란드 봉건귀족의 특권적 애국주의와 농민 계급의 비민족적 계급의식은 봉건사회에서 그들 각자가 처한 사회적 존재 조건으로 미루어 볼 때 불가피한 것이기도 했다. 혈통, 언어, 종교, 문화와 같은 민족형성의 객관적 조건이 갖추어지고 또 그것에 호소하여 민족투쟁의 공동전선을 펼치고자 했던 애국적 인텔리겐챠의 헌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의 민족운동은 기본적으로 봉건제적 사회질서가 규정하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봉건적 사회 관계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근대적 국민국가를 지향하는 민족운동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며,이러한 상황에서 다시 다양한 민족 성원 각자가 능동적 민족의식을 지닌 <정치적 민족>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하기란 더욱 힘든 것이었다. 


5. 일반적 차원에서 민족의식이 인구의 대다수인  농민들의 지방적 애국주의를 대체하게 된 것은 산업화가 진전되어 농민층의 도시 이주가 시작되고 의무교육을 통해 민족의식이 주입되는 등 이들이 근대의 사회적 존재 조건에 처하게 된 이후의 일이었던 것이다. 요컨대 질의 측면에서 민족운동의 구조와 논리를 결정하는 것은 다름 아닌 사회적 총관계인 것이다. 기타 각각의 국면마다 민족운동이 처해 있는 특수한 조건들은 주로 부차적 측면에서 민족운동을 양적으로 규정할 뿐이다. .폴란드 민족운동의 특수성 또한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총관계의 질적 규정력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


1월봉기를 끝으로 이제 폴란드의 민족운동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 것이었다. 1월봉기 자체는 패배로 끝났지만, 그 부산물인 농노해방으로 폴란드는 봉건제의 낡은 껍질을 벗고 산업사회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여전히 이민족 지배의 멍에를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사회 구성의 근본적 변화는 민족운동의 결을 바꾸어 놓을 것이었다. 진정한 민족해방은 폴란드의 민족운동이 <귀족-민족>의 낡은 틀을 깨고 <민중-민족>의 대안을 향해 힘차게 진군할 때 비로고 가능한 것이었다. 폴란드인들이 떠메고 가야만 했던 역사의 무게가 줄어든 것은 아니지만, 희망의 불빛이 보일 떄 그 역사의 짐은 훨씬 가볍게 느껴질 수 있었다. 



  - <그대들의 자유, 우리들의 자유.> 임지현




Posted by 김구공룡
,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18/06/07/in-developing-countries-many-people-cannot-afford-not-to-work




In developing countries, many people cannot afford not to work



미국의 실업 통계는 대통령도 신경쓰는 항목이다. 6 월 1 일 초 도널드 트럼프 (Donald Trump) 대통령은 그날 아침 공개 된 최신 인물 (3.8 %)을 기대하고 있다고 트윗으로 말했다. 대조적으로 중국의 실업 통계는 웃음거리가 되곤 하는데 2011년 이후 그간의 경제적 격변 중에도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많은 중국 관측통들은 2016 년부터 시작하여 4 월 이후 매월 발표되는 실업률 측정 방법이 더 구체화되기를 희망했다. 이전 통계는 지방 노동사무소에서 실업상태로 등록된 사람들만 집계하는 방식이었지만, 새로운 방식은 교육받은 담당자가 직접 집계하여 그 결과를 북경에 바로 송부한다. 이제는 중국 12만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31개 도시에 대해 더 장기 설문조사를 더해) 세계 최대 규모의 실업인구에 대한 현황 정보를 이론적으로 제공한다. 


새로운 수치가 정부의 목표치인 5.5% 대비 크게 낮은 것은 딱히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미국의 수치와는 달리 이는 지루하게 안정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프로파간다로 취급했지만 이는 성급한 결론일 수 있다. 중국의 실업률 수치는 아시아 국가들의 서구와는 다른 실업 양태의 결과일 수 있다. 


많은 개도국에서 실업률이 낮은 이유는 단지 사람들이 실업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업수당은 보잘 것 없고 받기가 너무나 까다롭다. 태국에서 실업수당은 사회보장사무소에 등록한 노동자 한정으로 매월 1,650~15,000 바트가 6개월에 한해 지급된다. Chulalongkorn대학의 Warn Lekfuangfu는 이나마도 받는 사람이 1/3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각지대에 머물며 어떻게든 생계를 꾸려나가야 한다. 실제로 실업은 '사치재' 라고, 인도의 인력개발연구소 Ajit Ghose는 지적한다. 


실업 수당 혜택에 의존할 수 없는 정리해고된 공장노동자들은 가족농장의 임시직 노동자가 되거나 길거리에서 장신구를 판다. '저임금 노동자가 너무 많습니다' ILO 방콕 지부의 Sara Elder는 남편의 체육관에서 단지 클라이밍 보조자만 해도 10명에 달한다고 말한다. (프랑스에서는 단 한 명이다) Annan Chanthan이 5년 전 방콕에서 그래픽디자이너 일자리를 떠났을 때 실업수당 신청을 고민했지만 오래 하지는 않았다. 그는 현재 Hua Lamphong 기차역 옆에서 복권을 판매하는데, 오히려 더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빈곤한 국가에서는 역설적으로 실업은 사정이 좋고 교육을 더 받은 계층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눈높이와 자격에 맞는 직장을 위해 좀 더 기다릴 여력이 있다. 이들의 행동은 실업의 기묘한 안정성을 설명한다. '여유있는 사람들도 무한정 기다릴수는 없고 시기가 좋지 않으면 그들은 결국 더 나쁜 일자리에 정착하거나 탐색을 그만두게 되고, 이는 실업률에 반영되게 됩니다' Ghose 의 설명이다. 




Fulsome employment


실업률의 특이한 점을 정부가 항상 파악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정책결정자는 통계가 너무 낮다고 불평하기도 한다. '그들은 아프리카의 실업률 통계치를 혐오하며 이를 매우 성토하곤 한다' Mr.Elder 에 따르면 몇 년 간 라이베리아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나라의 상징적인 주자였으며 그 실업률은 85%에 달한다는 말이 있었다. 정부가 2010년 올바르게 집계했을 때 실질 실업률은 3% 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정부들은 이 수치를 상향 조정하기도 한다. 이들은 일을 막 시작하거나 적극적으로 구할 수 없는 사람들을 집계한다. 이를테면 인도네시아에서 실업률은 취업에 좌절한 노동자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자 2017년의 수치는 ILO 기준 4.2% 대비 5.4% 로 올라갔다. 


높은 수치를 원하는 국가들은 곧 응답받을 수 있다. 2013 년 세계 노동 통계 전문가들은 가족을 위해 재화를 생산하는 자족형 농민과 같은 사람들을 제외하고 노동력을 정의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실업자의 수를 변경하지 않지만 노동력의 규모를 줄인다. 따라서 실업률의 분모를 줄이게 된다. 이 효과는 라오스와 같은 전원지역 국가에서 더 극적인 효과를 가져오는데 2010년의 실업률은 0.7 % 였지만 변경된 정의에 따르면 2017년에는 9.6 %로 증가했다.


궁극적으로 낮은 실업률은 사람들이 단지 일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지 잘 일하고 있다는 뜻이 아니다. 노동은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고 불안정하며 위태로울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절반도 안 되는 노동자만이 유의미한 임금을 받고 있으며 나머지는 스스로 (자영업) 혹은 가족을 위해 일한다


고르지 못한 고용은 결코 가난한 나라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Ghose 에 따르면 부유한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 현상인데 그가 케임브리지 대학을 마지막으로 방문했을 때 그는 교식원 식당의 일부 직원은 금요일에도 다음 주에 일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처지에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수십년 전 그가 학생이었을 때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고 술회한다) 영국과 미국에서 실업률은 이론적으로는 완전고용에 달했던 과거 시대를 연상케 한다. 그러나 아시아가 보여주듯 그 실체는 놀라울 정도로 실망스러울 수도 있다.

Posted by 김구공룡
,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18/07/21/the-stress-that-kills-american-workers



노동은 사람을 병들게 하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스탠퍼드 경영 대학원의 제프리 페이퍼 (Jeffrey Pfeffer) 교수가 쓴 책의 논증이지만 이는 명백히 구식이다. 보건 안전 규칙 덕분에 1970 년에서 2015 년 사이 미국 직장에서의 사망자가 65 % 감소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미국인 근로자의 80 %가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거의 절반이 도움이 필요한 상태에 처해 있다. (survey entitled “Attitudes in the American Workplace”)


기업들은 적어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Watson Wyatt (Towers Watson의 일부가 된 컨설턴트)의 2008 년 연구에 따르면 48 %의 조직이 직업 관련 스트레스가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그러나 고용주의 5%만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무언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Pfeffer의 책은 문제가 특히 심각한 것처럼 보이는 미국에 초점을 맞춘다.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직원의 55%가 오후 11시 이후에도 전자메일에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새로운 프랑스 법률은 직원들에게 근무일 종료 후 전자 메일을 무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 59%는 휴일에도 이메일을 확인한다. 절반 이상의 미국 노동자가 주어진 휴가를 전부 사용하지 않는다. Pfeffer는 노동 관련 이슈가 매년 12만 명에 달하는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추정한다. 만약 유럽 기준을 따른다면 이 사망자는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노동사망 관련 이슈에 대해 유럽이 더 나은 한 가지 이유는 보편적 건강보험체제의 제공일 것이다. Pfeffer는 보편건강보험체제의 부재와 건강보험에의 지출을 꺼리는 기업의 본능이 미국의 높은 노동사망의 가장 큰 단일 원인이라 추정한다. 건강보험이 없을 경우 성인 사망률이 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게다가 많은 노동자들이 제한된 수준의 건강보험만을 갖고 있어서 미국인의 1/3이 비용 때문에 전년도의 진료와 치료를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갤럽 설문) 물론 이는 기업 입장에서도 좋은 것은 아니다. 건강이 좋지 않은 노동자는 생산성이 낮고, 결국 일을 떠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직원 교체율을 높이게 되기도 한다. 


Pfeffer 교수는 또한 미국의 노동 문화 특히 경쟁사 대비 해고를 손쉽게 하는 기업들에 비판적인데, 그는 "피고용인의 공포, 이탈, 노력 감소는 급여를 절감하는 것보다도 기업생산성을 더 손상한다고 주장했다. 직장을 잃은 미국인은 심장 발작을 경험할 확률이 22% 높다. (흡연, 음주 및 비만과 같은 요인을 통제) 


공유경제gig economy경제의 성장 또한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프리랜서 노동자는 건강 보험에 가입하기 힘들며, 불규칙한 소득과 노동시간 때문에 더 높은 스트레스를 겪곤 한다. 대체로 개인에게 자율성과 통제력을 부여하는 직업이 동기부여와 건강에 긍정적이라고 Pfeffer교수는 말한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Pfeffer 교수의 주장이 지나치다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그가 묘사하는 문제 중 일부는 단지 기업과 노동문화 만이 아닌 사회 전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특히 건강보험 시스템의 설계는 경제보다는 정치적 선택이다. 경기 침체로 인한 실업 증가는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의 잘못이라고 보기 어렵다. 고용이 기록적인 최저 수준에 이르면 고용 스트레스는 오히려 줄어든다. 공유 경제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직업 불안정이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노동환경을 자유롭게 관리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휴가를 제대로 가지 않고는 하는 많은 미국인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스트레스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교수의 주장은 시의성이 있으며, 지난 20년 동안 직업 불안정과 전자 통신의 보편화가 이러한 압력에 일조했다는 주장에도 설득력이 있다. 미국의 의료 시스템에 큰 변화가 있을 것 같지 않기에 최선의 희망은 기업 행동의 변화에 ​​놓여 있다.


저자는 보험사 Aetna나 wellness program, 최저 임금 인상 등을 도입한 Barry Wehmiller와 같은 회사를 인용하면서 (이 모델은 과거 Cadbury, Rowntrees 등 퀘이커교도가 운영하는 영국제과사업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를 다시 보는 강력한 논거를 제공한다. 

Posted by 김구공룡
,



 고객들은 애플 스토어에서 앱을 매 밀리초간 다운받는다. 기업은 1천 대의 아이폰과 아이패드와 맥을 몇 분만에 팔아치운다. 재고는 단지 4일만에 동나고 4주마다 새로운 제품을 출시한다. 컴퓨터와 투기꾼에 의한 광적인 거래는 애플 사의 주식을 평균 5개월마다 손바뀜되도록 만든다. 

 시장가치 기준으로 세계 최대 회사에 대한 이러한 과민반응들을 보면 21세기 비즈니스 환경은 갈수록 가속 페달을 전속력으로 밟는 것처럼 보이기 쉽다. 애플의 안방인 실리콘밸리는 아이디어들이 꾸준히 가속하는 경쟁의 장이다. “변화의 속도는 가속되고 있다” 구글의 임원인 에릭 슈미트와 조나단 로젠버그가 “How Google Works” 에서 주장하는 내용이다. 다른 곳을 볼 것도 없이 “유니콘” (높이 뜨는 스타트업들) 을 들자면, 이들은 단지 한 두 해 만에 수십억 달러의 가치평가를 받곤 한다. 몇 년 안으로 그들은, 다른 산업이 수십년 간 이룩한 이윤의 원천을 갉아먹을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쿨한 동급생들을 경외하는 얼간이들처럼, 미국의 다른 산업 분야들은 마치 상대적으로 굼벵이가 된 마냥 비판을 받는다. 미국의 대기업 보스 아무나 붇잡고 무엇이 경영을 바꾸었느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그들은 ‘속도’ 라고 말할 것이다. 기업들은 더욱 빨리 태어나고 죽으며, 아이디어들은 세상을 더 빨리 떠돌고 있다. 공급체인은 빅데이터의 러시에 의한 즉각적인 주문에 반응하고 있고, 페이스북을 통한 고객 불만과 불평은 실시간으로 제품으로 피드백된다. 어떤 기업들은 너무 빠른 나머지 마치 미래로 걸어들어갈 수 있어 보이기도 한다. 아마존은 아예 고객의 주문을 앞질러 ‘예측 배송’을 하는 정책을 계획 중이다. 

 “우리는 속도에 프리미엄을 줍니다.” GE의 제프 이멜트는 오랫동안 고통받아왔던 주주들에게 돌린 메일에서 이렇게 서두를 띄웠다. IBM 을 부활시키기 위해 고군분투중인 Ginni Rometty 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은 과연 세상에 은 탄환 (만병통치약) 같은 존재가 있느냐고 묻곤 하죠. 그것이 있다면, 아마도 ‘속도’일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S&P 500 인덱스 대기업에 대한 주주보고서들은 ‘속도’ ‘빠름’ 과 같은 단어로 어지럽혀져 있고, 한 덩이의 괜찮은 표현인 “파괴”는 굳이 언급하지 않고 있다. 


 Maverick and Geese 

 미국의 경영자들은 더욱 가속되는 비즈니스 환경을 그들이 따라잡지 못할까를 근심하고 있다. 다른 이들은,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시도한 것들에 대해서 걱정한다. 과민한 보스들은 정리해고를 지나치게 하거나 분기실적을 맞추기 위해 자사주 매입을 과도하게 하여 기소당하기도 한다. 이런 불안감은 기업 경영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퍼져나가고 있는데, Paul Roberts 는 그의 저서 “The impulse Society” 에서 ‘이 사회는 이제 장기적인 투자와 관점, 헌신, 그리고 영속성이라는 관념에 너무도 적대적이 되어서, 지속가능한 경제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가치 생산이 갈수록 불가능해져만 가고 있다” 고 통탄했다. 

 시간이 가속된다는 관념은, 언제나 인기가 있기는 한데, 문제는 그것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지를 증명하기는 쉽지 않다. 

 자본주의는 언제나 서두른다고 마르크스와 앵겔스가 1848년 이렇게 쓰고 있다: “그들의 오래된 덕망있는 선입견과 의견으로 만들어진 기차는 모든 고정되고 결성된 관계를 쓸어낼 것이다… 새로 형성된 것들은 그것이 안착하기 전에 케케묵은 존재로 굴러떨어질 것이다…” 

  운송으로 말할 것 같으면, 1913년 헨리 포드의 조립 라인 재발명은 자동차 한 대를 조립하는 리드타임을 12시간에서 90분으로 절감했다. 알프레드 슬론은 1923년부터 56년까지 제너럴 모터스에 재직하면서 ‘동적인 진부화’ 즉 신제품 라인업의 광풍으로 하여금 시장 수요를 자극하고 구 제품 라인업을 빠르게 노후화 및 단종시키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혼다는 이 전략을 더욱 극단화시켜서 1981년부터 82년 간의 18개월 기간 동안 무려 113개의 스쿠터 모델을 선보이기까지 했다. 일본 산업체는 1970년대와 80년 대 유연한 서플라이 체인과 공정의 재조직화를 통해 지연을 일소하고 효율성을 크게 잡아늘렸다. 1990년 컨설팅 회사 BCG의 George Stalk과 Thomas Hout은 이 추이를 “시간과의 경쟁” 이라고 표현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팀 쿡이 즐겨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경영의 페이스가 지난 세기보다 왜 빨라졌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그럴듯한 설명들이 있다. 연산 파워의 배증 이른바 ‘무어의 법칙’ 은 컴퓨팅 파워가 수십년간 지수적으로 증가해 왔음을 보여 준다. 정보기술은 소비자들의 생활에 더욱 강하게 밀착하고 있다. 더 많은 회사들이 계약과 회계시스템에서 ‘마켓 투 마켓’ 가격을 사용하면서, 장기계약자들이 헤징하고는 하는 가격 급변에 스스로를 노출시킨다. 규제 완화와 세계화는 기업들이, 쉽게 가속하거나 서비스계약을 종료할 수 있는 서드파티 공급자의 외주 네트워크를 통해 직원을 고용하고 제품을 생산하기 더 쉽게 만들었다. 

 그러나 거대한 가속의 시대에 본격적으로 접어들었다고만은 단정하기 어려운 많은 반례들이 존재하는 바, 이코노미스트 지는 미국의 경영 환경을 분석한 여러 지표를 통해 이 추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어떤 것들은 분명 가속되었지만, 또한 어떤 것들은 분명 그렇지 않고 있다. 

 세상을 떠도는 아이디어의 속도는 빨라졌다. ‘적응 지연’ – 이른바 변화를 천천히 받아들이거나 빈곤국이 선도기술국을 따라잡는 데 걸리는 시간은 1779년 뮬방적기가 전파되는 데 1백년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모바일 폰이 전파되는 데 걸린 시간인 13년은 분명 극적이다. Diego Comin 과 Marti Mestieri 가 특허를 – 비록 혁신의 측정 단위로 불완전한 도구이지만 – 출원 수의 추이로 분석하기로는 지난 5년간에만 장기 평균인 6%증가율을 훨씬 넘는 11%가 증가를 기록했다. 어떤 소비자들이 식료품을 구입하기 위해 상점에 들르는가의 빈도는 감소하였는데 이에는 전자상거래의 발달이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또다른 지표들은 기만함보다는 나태를 나타내는데, 새로운 소매품의 출시는 느려지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공장들은 이제 더 빠르게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생산속도를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재고량 특히 반제품이나 가공품을 보는 것인데, 중간 가공품이 실제 세일즈로 연결되는 비율은 지난 십여년간 감소해왔다. (산업 특성상 이 비율이 항상 일정한 보잉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더욱) 이 경향이 외주와 아웃소싱과 해외생산을 포함해도 딱히 달라진다는 근거는 없다. 폭스콘으로도 알려진, 아이폰과 많은 기즈모들을 생산하는, 혼하이 정밀 사도 마찬가지 길을 걷고 있다. 만약 스마트한 공급체인을 통해 제품의 생산과 소비가 더욱 빠르게 일어난다면, 전체 재고량은 감소해야 한다. 그러나 2014년 미국의 대형 기업들이 들고 있는 재고량은 29일치 수준으로 2000년 때 보다 아주 조금 감소했을 뿐이다 경제 전체를 통틀어 볼 것 같으면 재고비율은 1990년대에 개선되었다가 2011년 이후로 오히려 급격히 악화되었다. 그리고 물건들이 딱히 더 빠르게 팔려나가지 않았듯이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도 마찬가지 추세를 겪었다. 민간 부문의 근로자들은 중간값 4.1년 가량을 근무하였는데 이는 1990년 도 대비 조금 길어진 것이며, 고령 근로자에게는 약간의 하락이, 여성에게는 약간의 증가가 있었다. 




 더욱 창조적인 파괴는 기업들을 더욱 빠른 속도로 만들어내면서 또한 무너뜨릴 것 처럼 보인다. 그러나 S&P 500 대기업들이 순위에서 탈락해 나갈 확률은 매년 20개 중 하나로 이 확률은 지난 50년 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게다가 이 탈락의 절반은 인수합병된 결과로 인한 것으로, 새로운 기업이 탄생하는 비율은 현재가 역사상 최하를 기록했다. 한 살 미만의 기업 수는 단지 8%에 불과한데, 30여 년 전에는 13%였다. 5살 이하의 기업들은 고용에 있어서도 갈수록 덜 중요한 위치들을 차지하고 있다. 

 어떤 연구들은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시기는 1970년대와 80년대 즈음에 끝났다고들 말하기도 하지만, 그러나 오늘날 돌이켜 볼 때 재직자들은 더 길고 안락한 직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00년에 S&P 500 기업들은 세전자본이익을 5년간 매년 적어도 12%가량 거두었는데, 이 실적은 오늘날에도 차이가 없다. 등재된 기업들이 자산이나 소프트웨어를 감가상각하는 속도와 비율도 비교적 꾸준하다. 

 많은 보스들은 자본시장이 복잡하게 연결된 사회의 과민한 충격으로 인해 증폭되어 왔다고 불평하지만 정작 많은 지표들은 그들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이 갈수록 덜 단기적이 되어감을 보여준다. 1990년 대 이후 신규 회사채의 평균 만기는 저금리에 힘입어 10년에서 17년으로 늘어났고 S&P 500 기업들 주식의 평균 보유 기간은 여전히 낮아서 200일 가량이지만 그러나 2008년의 두 배 늘어났으며 수십년 전에 비해서도 긴 기간이다. 크레딧스위스의 Ana Avramovic 분석가는 단타매매와 프로그램 때문에 주식시장의 유동성이 늘어났다고 주장하지만 그 이면에 더 많은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투자의 규모 흐름이 있다. BlackRock 이나 Vanguard 와 같은 거대 패시브 펀드들은 지난 십여년 전에 비해 훨씬 더 장기적으로 심지어는 무기한으로 채권과 주식을 보유하곤 한다. 동시에 액티브한 뮤추얼펀드의 평균 보유 기간도 2000년의 1년에 비해 2년으로 늘어났다. 


 Breathless 

 어떤 경영자들은 분명 사기꾼이나 다를 바 없어서 수익 목표를 위해 투자를 삭감하곤 하고 경제학자들은 이에 대해서 투자자들이 멀리 떨어진 장기적 수익을 더 할인하여 받아들인다는 경향을 관측하기도 했다. 그러나 장기적 투자 규모가 실제로 사라졌는가는 불분명한데, S&P 500 기업들과 경제 전체에 있어 기업 투자 (공장, 장비, 소프트웨어 및 연구개발) 는 꾸준히 매출, 자산 그리고 GDP 에 동일 비율로 연동되어 왔다. 수익 대비 투자 비율이 낮아진 것은 사실인데 이는 낮은 임금 덕에 마진이 기록적으로 올라갔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그들의 주인과 경영자에게는 배당과 자사주매입으로 후하게 베푸는 한편으로 그들의 임직원에게는 인색하게 굴어왔는데, 그러나 역사적 기준으로 볼 때 투자 자체를 크게 아껴오지는 않았던 것이다. 기업들이 지난 25년간 자사주를 매입하는 만큼 투자를 해 왔다면 매출 대비 9%가 아닌 15%의 투자를 기록했을 것이다. 낮은 금리는 자본의 가격이 저렴함을 의미함에도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제 둔화 리스크의 영향을 두려워한 나머지 더욱 투자를 줄여온 것이다. 


 경영자들은 실적 압박을 많이 받는다고 툴툴대지만 실제로 이들은 건널목 판자를 천천히 눌러 왔다. 2014년 CEO 들의 재임 기간 중간값은 5년인데 이는 2007년의 3년에서 더 늘어난 것이다. S&P 500 기업에서 은퇴하는 최고경영자의 평균 재임 기간은 10년이었는데 이는 2002년 이후로 가장 긴 기록이기도 하다. 


 이런 결과는 당연히 상당히 의문스러운 것이다. 경영자들은 언제나 시간이 가속된다고 느끼고 있지만 실제 지표들은 그들의 주장이 허풍이라고 말하고 있다. 속도에 대한 한 가지 가능성은 그들의 인식이 트렌드를 선행하여 상황 변화를 먼저 인식하기 좋은 위치로 말미암은 것으로, 실제 거대한 변혁의 파도가 밀어닥치기 직전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실리콘밸리에서 유명한 거인들은 재무적으로는 사실 피라미 수준에 불과한데, 우버의 매출은 20억 달러로 세계의 공개 기업들 사이에서 순위를 매긴다면 3,882위에 겨우 랭크된다. 에어비엔비의 세일즈는 호텔 산업 전체의 2%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들 기업들은 구입 서비스의 플랫폼이긴 하지만, 그들 아래의 자산과 사람 – 자동차, 방, 운전자 등 – 은 훨씬 덜 변화했다. 사람들은 데이트 앱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레스토랑에 간다. 전반적으로, 맥킨지가 차산하기로, 기술적 혁신은 글로벌 기업운영이익을 2025년까지 6%까지 낮출 것으로 전망되지만 압도적인 수준은 아니다. 


 더 나은 설명은 비즈니스에의 정보 유통 속도로 인한 것이다. 오늘날 단지 몇 년 전에 비해서 훨씬 더 많은 정보가 기업 경영의 장에 쇄도하고 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게다가 정보가 꾸준한 속도로 쌓여 왔을지라도, 급속도의 홍수는 마치 목까지 차오른 위협처럼 느껴지게 마련이다. 이미 익숙해진 프로세스가 그 자체는 느린 속도라 해도 큰 디테일을 접하게 되면 시간이 빠르게 흐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렇게 불안케 하는 센세이션은 대부분의 최고경영자들에게 공통적인 경험이다. 설문조사는 그들이 하루에만 200에서 400통 가량의 이메일을 받는다고 말한다. 정보의 쇄도에 노출되어 있기는 부하직원들도 마찬가지인데, AT&T는 이제 소셜미디어에서 고객들이 불만을 토로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오류를 추적하기 시작했다. 대형 소비자브랜드들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설문과 투표를 실시한다. 이러한 정보의 과잉은 기업들로 하여금 과잉반응의 망토를 씌운다. 


 그러나 이 착시를 조금만 걷어올리면, 둔한 현실에 가속의 위험한 환상이 덧씌워져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새로운 기업의 창업이 느려진 만큼이나 산업은 과점 상태로 치닫고 있다. 미국의 13개 산업 섹터 중에서 10개가 2007년 현재 1997년보다 더 집중되어 있다. 헬스케어, 소비자 소매, 비행, 케이블티비, 텔레콤 및 하드웨어 등의 분야에서 거대한 인수합병이 있었고, 이들 딜은 대형 기업들이 더 많은 시장점유와 가격결정력을 갖게끔 했다. 


 사람들이 정보를 얻고 쇼핑을 하는 구글과 애플, 아마존과 같은 테크 플랫폼은 매우 높은 시장 점유율과 마진을 갖고 거대한 현금 - 비금융섹터 부문의 현금 41%를 테크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다. 아마도 이들은 언젠가 새로운 경쟁자가 나타나 자신들을 쓸어버릴 지도 모르는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바짝 조여맬 것이며 그들의 강력한 가격파워를 유지하기 위해 경쟁자를 인수합병해버리는 데 막대한 자원을 동원할 것이다. 


 관리자들에게는 이러한 가속의 환상이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성급히 전환하는 위험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GE는 지난 십여년 간 자신들의 총 자산 규모 전체에 해당하는 규모의 비즈니스를 매입하고 매각하였으며, 미국의 제약회사들은 2014년 초 부터만 해도 인수 합병에 1.1조 달러 - 현재 시장 가치 전체의 51%에 해당하는 비용을 투자했다.  



 Time and Relative Dimension 


 아마도 영구적 혁명을 위한 이러한 노력들은 성공할 것이다. 그러나 모든 기업들이 이러한 전략을 조합의 오류를 만들지 않고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는 분명 느리게 성장하는 비즈니스를 해야 한다. 많은 딜들을 처리하는 작업은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래서 오늘 핫했던 재료들은 내일은 차가울 수 있다. 서구의 기업들은 2012년까지 15년 간 3조 달러를 신흥시장에 그들의 경제성장이 둔화되기 직전까지 투자하였다. 만약 기업들이 이러한 가속을 경험하지 못한다면 그럼에도 여전히 시간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두어야 한다. 1930년 로널드 코즈는, 기업들이 조직이 쉽게 시장에 침투할 수 없기 때문에 존재를 지속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또 다른 접근 방식이 있는데, 그들이 일종의 시간 전환자 즉 다른 시간대의 소비자, 직원, 공급자 그리고 보유자 간의 시간 프레임을 중개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채권보유자들은, 이를테면, 수십 년 간의 꾸준한 지불 흐름을 원하는데, 이 흐름은 고객들이, 제조에서 배송에까지 몇 주가 걸리고 몇 년 전에 고용된 직원들이 개발 판매하는 제품에 즉시 지불한 금액으로부터 산출된다. 기업은 이 모든 구성 요소를 만족할 수 있는 조직체이다. 이렇게 시간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작업은 은행에게 가장 극단적인데, 즉시 인출될 수 있는 예금으로부터 자금을 형성하여 상환에는 몇 년이 걸리는 대출의 형태로 확장하는, 본질적으로 리스크 있는 이른바 ‘만기 전환’ 프로세스로 움직이는 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의 전환은 단지 금융 분야만이 아니라 모든 비즈니스 기업들이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더 많은 정보들이 기업들로 하여금 더 넓은 시간 프레임 영역에서의 전환 능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원한다면 초 단위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들은 마치 비행을 할 때와 같은 정교한 시간지평이 요구되기 마련이다. ‘패스트패션’ 리테일러 Zara 브랜드의 모회사인 Inditex는 매 년 4만 종의 제품을 디자인하여 매 주 두 번 매장에 배송한다. 이런 프로세스는 패션이 일 년에 두 번의 큰 시즌이 있다는 개념 자체를 끝내버렸는데, 그러나 더 빠른 프록스의 흐름은 다른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비즈니스 목적에 의한 것이다. 디자인 부서에서는 변덕스러운 외부인 대신 직접 900명의 디자이너를 고용하고, 공급자에게는 십 년 전 대비 두 배 긴 160일의 지불기한을 설득하였다. 유럽 네트워크에 있는 생산 시설은 여러 해 동안 머무르고 있는데 그 자산은 10 년 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판매량 대비 투자는 경쟁 그룹 대비 두 배를 하고 창업자인 Amancio Ortega는 지배적 지분을 40년간 보유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고 회사의 지분이 8개월마다 바뀌는 인텔의 창업자 Andy Bryant는 말한다. 그러나 무어의 법칙 – 이 또한 인텔의 공동창업자인 – 에 따라가기 위하여 인텔은 매우 긴 투자지평을 갖고 있어서 매년 200억 달러를 공장과 연구개발에 지불한다. “우리 과학자들은 10년의 시야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한 장기적 시야를 갖지 못한다면 무어의 법칙에 따른 생산 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되지요” 


 이 기사의 시작을 열었던 광적인 애호의 대상인 애플은 어떠한가? 이들의 디렉터는 평균 6년 간 근무했고 수십 년 간을 유지할 데이터센터와 같은 고정자산에 크게 투자하였다. 또한 그들 자신의 칩을 설계 제조할 장기 계획을 갖고 있기도 하다. 팀 쿡은 그의 현재 포지션을 4년간 유지하기 전에도 14년간 장기 근속해 왔으며 애플 사 자신은 39살이 되었고 2040년에 만기되는 채권을 발행하기도 했다. 


 광적인 가속은 잊어라. 사업의 시계에 통달하는 방법은 언제 빨라질 것인가와 느려질 것인가를 선택하는 데 있다.



Posted by 김구공룡
,
Why Central Banks Should Give Money Directly to the People




 제 2차 세계대전이 수십년 지난 후 일본의 경제는 기적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했다. 1986년부터 1991년까지 마지막 거대한 붐 기간 동안 이 경제는 거의 1조 달러 가량 팽창했지만, 오늘날의 시기와 똑같게도, 일본의 자산 버블은 꺼졌고 시장은 깊은 침체로 접어들었다. 정부의 부채는 부풀어올랐고 경제성장률은 1%미만으로 떨어지다가 1998년부터는 아예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 해 1월, 프린스턴대학의 한 경제학 교수는 일본의 이 흐름을 지켜본 뒤 중앙은행은 여전히 경제를 턴어라운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은 무엇보다 수요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그렇지만 금리는 여전히 낮고 그럼에도 소비자들은 구입을 하지 않고 기업들은 대출을 하지 않으며 투자자들은 투자를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자기실현적 예언이 되어 비관주의 자체가 바로 경기를 침체시키게 되었다. 이 경제학자는 일본은행이 더 공격적으로 – 전통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일본의 가구들에게 현금을 바로 직접 꽂으라는 것이었다. 소비자들은 새로운 혜택을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사용할 것이고, 그렇게 수요와 물가는 촉진될 것이라는 것. 그 경제학자의 이름은 벤 버냉키였다.

 버냉키가 명확히 하였지만 이러한 개념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1930년대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은행권을 병에 담아 폐광에 묻고 사람들이 그걸 캐내어 쓰도록 하면 새로운 부와 유효지출이 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파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만도 직접현금교부라는 아이디어에 찬성하며 헬리콥터에서 현금을 뿌린다는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일본은 그러나 이를 전혀 실천하지 않았고 경제는 다시는 회복되지 않았다. 1993년과 2003년 일본의 연평균성장율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일본이 1990년대에 겪었던 것처럼, 글로벌 경제가 지출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이 문제가 거버넌스의 더 큰 실패에서 유래하고 있음에 동의한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를 포함한 중앙은행들은 공격적인 조치를 취하여 꾸준히 금리를 인하했고, 마침내 사실상 제로에 가까운 현재의 수준에 도달했다. 또한 이들은 수조 달러에 달하는 새로운 돈을 금융시스템에 들이부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거품의 형성과 소멸이라는 파괴적 사이클의 규모만 키웠고, 경제적 유인을 비틀어 자산 가격을 왜곡하고, 이제 경제성장은 정체되면서 불평등만 더 심화되고 있다. 지난 과거 동안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은, 다른 선진국 카운터파트들이 그러했듯, 프리드먼이 제시한 개념인 ‘헬리콥터 현금 살포’ 정책을 고려하였다. 단기적으로 이 현금이전은 경제를 점프스타트시킬 수 있었고 장기적으로도 이는 은행시스템에 대한 의존과 불평등의 성장을 줄일 수 있었다. 문제는, 왜 어떤 정부들도 이걸 시도해 보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Easy Money

 이론적으로 정부는 소비를 두 방향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재정정책 (감세나 정부 지출) 또는 통화정책 (이자율 인하나 통화공급확대) 이 그것이다. 그러나 지난 수십년 간 대부분의 정부들은 거의 전적으로 후자 쪽에 의존해왔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재정정책에 대한 정치적 입장은 매우 분열되어 좌파와 우파는 정부지출을 늘릴 것인가와 세금을 인하할 것인가를 두고 수없이 싸워왔다. 일반적으로 세금 환급과 소비촉진 패키지는 금융정책보다 더 큰 정치적 저항에 맞닥뜨리곤 한다. 대통령과 수상은 예산안을 승인받아야 하고 이는 시간이 걸리며 세금공제나 정부지출은 경제 전체보다는 일부 힘있는 조직에 더 혜택을 주게 마련이다. 반면 많은 중앙은행들은 정치적으로 독립적이며 컨퍼런스 콜 한 번으로 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에는 세금과 지출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분배하여야 경제를 촉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인 합의 과정도 없다.

 1980년대 이후 21세기 초입까지의 꾸준한 성장은 이러한 통화정책의 손을 들어주는 것 처럼 보였다. 그러나 지출에 직접적인 효과를 내는 재정정책과는 달리 이렇게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통화정책은 결국 중요한 결점을 드러냈는데, 저금리경제는 결국 대출비용을 낮추고 주식, 채권, 주택의 가격을 밀어올린다. 이런 방식의 경기부양은 비싸고 비효율적이며 위험한 버블을 – 특히 부동산에 – 만들어내고 기업과 가계로 하여금 위험한 부채를 지도록 유도한다.

 이것이 바로 앨런 그린스팬이 연준 테뉴어로 재직하던 1997년부터 2006년의 시기에 벌어진 일이다. 워싱턴은 지출확대를 위해 통화정책에 지나치게 의존했고, 비평가들은 2008년의 금융위기가 지나치게 이자율을 낮춘 연방준비위원회의 실책이라며 그린스팬을 비판하곤 했다. 그러나 그린스팬의 정책은 의회의 재정정책 거부에 대한 비자발적 반응에 불과했으며, 그린스팬은 그의 정책에 지나치게 정직했다. 2002년 의회에서 그는 연준의 (타의적) 통화정책이 미국인 일반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해 이렇게 증언했다:

 “지출을 부양하는 데 있어 특히 중요한 것은 모기지 대출 이자율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여 가계로 하여금 주택을 구입하고 부채를 조정하고 부채서비스 부담을 낮추어 자본을 주택으로부터 금융지출로 이전하게 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된 모기지 금리는 합리적으로 강한 주택수요를 촉진하고 이 부의 효과를 통해 소비자수요도 지지하는 것이다”

 그린스팬의 모델은, 물론 붕괴했으며 주택버블은 2008년에 거대하게 폭발했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도 별로 변한 것은 없다. 미국은 누더기가 된 금융부문을 적당히 때운 뒤 지난 30년간 버블을 키워 온 체제로 회귀했으며, 그린스팬의 후계자로 수학한 버냉키는 ‘양적 완화’라는 이름의 통화 공급 정책을, 수십억 달러의 모기지 담보 채권과 정부 채권을 매입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는데, 버냉키의 목표는 주식과 채권의 가격을, 그린스팬이 주택가격을 끌어올린 것처럼 부양하는 것이었다. 물론 최종적 의도는 소비 촉진이었다.

 버냉키의 정책이 가져온 결과도 그린스팬의 것과 똑같았는데 더 상승한 자산 가격은 지출의 확대에 완만하게 기여했지만 납세자에게 거대한 부담을 가져왔다. 다른 정부들도 이 정책에 따랐는데, 일본 중앙은행은 증시 부양을 위해 독자적인 양적완화정책을 추진했지만 나라의 고질적인 저소비를 치료하는 데 실패했다. ECB는 유로존에 대하여 사실상의 마이너스금리 – 즉 상업은행의 예탁저축액에 0.1%의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소비강제정책을 추진했지만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

 중국 또한 2008년의 금융위기가 자국의 경제성장을 무너뜨리지 않도록 안간힘을 써 왔는데, 베이징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은행들로 하여금 예상하지 못한 신규 대출을 승인하도록 청신호를 켜기도 했다. 그 결과는 자산가격의 드라마틱한 폭등과 개인/기업의 대출 급증, 그리고 그로 인한 위험한 불안정성이었다. 중국의 정책 당국은 이제 물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부채는 줄이고 총지출은 유지하고자 하는 목표를 두었지만, 다른 정부들과 마찬가지로 베이징 또한 그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몰랐던 모양이다. 베이징 정부는 통화정책을 완화하길 원하지도 않았지만 다른 정부들의 실패와 다른 경과가 보이지도 않는다.

 전반적인 글로벌 경제는 동시에, 채권의 버블과 곧 이은 주식버블의 시대로 접어들 전망이다. 주택시장은 전 세계에 걸쳐, 텔아비브로부터 토론토까지, 과열되었고 많은 민간부문은 이미 부채가 충분히 많다고 생각하며 더 이상의 대출을 지고 싶어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특히, 가계와 기업이 대출을 통해서 투자와 소비를 진작하게끔 하고자 했던 중앙은행에게 좋지 않은 소식이다. 지난 15년 간 세계의 중앙은행들은 주로 양적완화와 그리고 다른 유통성 공급을 통해 대략 6조 달러 가량에 달하는 규모의 장부 확장을 했음에도 선진국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의 징후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어느 정도는, 저금리는 세계화된 경제의 경쟁 격화의 결과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과 기업이 소비와 투자에 지나치게 주저하면서 결국 높은 실업률과 임금 정체를 유지하게 될 때에도 나타난다. 유로존에서 인플레이션은 위험할 정도로 제로에 근접하였고, 특히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디플레이션에 접어들기 시작했다. 현재의 정책은 아주 좋게 봐 줘도 그냥 작동을 하지 않는 것이고 최악으로는 더 많은 불안정성 그리고 스태그네이션의 연장을 빚을 위험이 있는 것이다.  

MAKE IT RAIN

 정부는 더 잘 해야 한다. 민간 영역의 지출에 자산 구입이나 이자율을 갖고 퍼주지 말고, 연방준비위원회 같은 중앙은행은, 소비자들에게 현금을 직접 주어야 한다. 실질적으로 이 정책은 중앙은행이 자국의 납세가계에게 특정 금액의 돈을 지불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부는 모든 가계에게 동등하게 현금을 교부할 수 있으며, 더 낫게는 하위 80%의 가계에게 소득의 형태로 주는 것이다. 덜 버는 가구를 겨냥한 이 정책은 크게 두 가지 장점을 가질 수 있는데, 첫째 저소득 가구는 더 소비하는 성향을 가졌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증가하는 소득불평등을 교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접근은 중앙은행이 생긴 이후로 통화정책에 있어 최초의 중대한 혁신이 될 수 있을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현재 체제를 급격하게 벗어나는 일탈이 되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이미 그들의 중앙은행이 이자율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 믿고 있고, 금리는 실제로 현금이 유동함에 따라 재분배될 수 있다. 금리가 하락했을 때, 변동금리에 기반한 이 대출은 이윤을 거두는 방향으로 끝날 것이고, 저축을 더 하여 이자소득에 의존하는 부류들은 손실을 볼 것이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도 중앙은행으로부터의 현금이전이 수요를 촉진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정치가들은 이 아이디어에 꾸준히 저항하는데, 2012년 연설에서 영국은행의 Mervyn King 총재는 이러한 이전이 재정정책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중앙은행의 시야 밖으로 밀어내고자 했으며 중앙은행 총재인 Haruhiko Kuroda 또한 같은 취지의 언급을 지난 3월에 한 바 있다. 이러한 주장은 그러나 단지 의미적인 교착에 불과하며, 통화 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는 단지 어떤 정부가 중앙은행에 이를 요청하느냐에 달려 있을 뿐이다. 달리 말해 현금 이전은 은행이 이를 쓰면 곧 통화정책의 도구가 되는 것이다.

 다른 비평가들은 이러한 헬리콥터 살포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것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이 이전은 유동적인 도구이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얼마든지 금리를 조정하여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낮은데, 최근 수 년 간 낮은 물가상승율은 반복되는 양적완화에도 탄력성이 있음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첫째 기술혁신과 세계화가 소비자물가상승과 임금상승을 성공적으로 통제하고 있고, 둘째는 지난 수십년간의 반복되는 재정 공포가 많은 저소득국가에게 저축을 외환보유의 형태로 사실상 강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이들이 실제 능력보다 훨씬 덜 소비해 왔으며, 그 결과 인프라나 국방 등 고용을 제공하고 물가를 끌어올리는 경제를 빈곤하게 해 왔음을 또한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선진국 들 사이에서, 늘어난 수명은 시민들로 하여금 더 많은 저축에 집착하게끔 하는데, (특히 일본) 그 결과 중장년들은 더욱 재화와 서비스에 덜 지출하는 성향이 강화되었다. 오늘날 저인플레에 기반한 이러한 구조적 근본들은 국제경쟁의 격화와 그리고 선진국들의 고령화에 의해 더욱 강화될 것이다. 오히려 이제는, 정치가들은 디플레이션에 대해 더 걱정해야 할 때이며, 유로존은 이미 이를 겪고 있는 중이다.

 중앙은행의 전통적인 임무인, 소비수요를 촉진하면서도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과업을 내던질 필요는 없다. 현금 이전은 금리 중심의 변화와 양적완화 보다 더 나은 결과를 훨씬 적은 비용으로 달성할 기회이다. 자금을 직접 수백만의 개인 계좌에 바로 이체함으로써 중앙은행은 더 이상 GDP의 20%에 달하는 현금을 찍어낼 필요가 없게 된다.

 현금이전의 전체 효과는 이른바 재정승수 - $100가 이전되었을 때 전체 GDP 가 얼마나 성장하느냐의 단위로 계산되는 – 에 의해 측정된다. 미국에서 2008년 경제촉진세금에 의해 거의 GDP의 1%에 달하는 규모로 환급된 세금이 의미있는 사례인데, 이 환급의 재정승수는 약 1.3을 기록했다. 이것은 2%에 달하는 규모의 현금 투입이 경제를 2.6%가량 성장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정도 규모의 – 대략 GDP 5%내의 – 현금이전은 완만한 경제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LET THEM HAVE CASH

 현금이전을 통해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리스크를 가정하지 않고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 그러니 이전은 단지 미미하게 소득불평등을 자극할 수 있는데, 소득불평등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의 또 다른 중요한 위협요소이다. 지난 30여년간 선진국의 하위 40% 임금은 정체된 동안 최고소득자의 소득은 치솟았다. 영국은행은 영국의 최상위 5%가구가 이제 영국 전체 부의 40%를 점유하고 있다고 추산하는데 이는 선진국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부자와 빈자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프랑스의 토마 피케티를 비롯한 경제학자들은 부에 대한 국제적 과세를 제안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정책은 현실적이지 않다. 일단, 부는 그의 정치적 영향력과 재무적 자원을 세금에 대한 저항과 회피에 사용할 것인데, 290조 달러에 달하는 역외자산은 이미 국가 재무부의 권한 너머에 있고 새로운 과세는 이 더미를 더 늘릴 뿐이다. 게다가 결국 납세를 하게 되는 사람들 대부분은 그렇게까지 부자가 아니다. 대체적으로, 최고소득세 구간 가계의 대부분은 중상위층이긴 한데 수퍼리치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프랑스의 최근 예산트러블이 보여주는 결론은 이런 추가부담이 정치적으로 딱히 좋은 결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래서 다른 길이 있다. 높은 곳을 끌어내리기보다, 낮은 곳을 밀어 올리는 방법이다. 중앙은행은 채권을 발행하고 이를 글로벌 증권 인덱스에 투자할 수 있다. 다양한 투자 종목 묶음의 가치는 시장에 따라 등락하고 이는 국부펀드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영국은행, ECB, 그리고 연방준비위원회는 이미 자국 GDP의 20%를 초과하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서, 이를 자국 시민들을 대신하여 국제증권의 자산에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15년 간 이 펀드들은 그들이 보유한 증권을 하위 80% 납세자들에 분배할 수 있었다. 이 지급은 개인 계좌의 세금 면제나 환급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정부는 이 자본이 쓰이는 지출처에 대해 간단한 통제를 가할 수 있다. 수혜자는 이 자금을 저축하거나 교육에 지출하거나 빚을 갚거나 창업을 하거나 집에 투자하도록 유지할 것을 요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한들은 수혜자들이 이전받은 자금을 복권 당첨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투자하도록 생각하게 할 수 있다. 목표는, 이를 넘어서, 오랜 기간 동안 소득 분배로 인해 뒤처진 저소득층의 부를 끌어올리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이 시스템은 스스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정부는 이제 실질금리 제로에 가까운 비용으로 국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이나 아니면 현재 보유한 자산을 유동화하는 방식으로 자본을 조달한다면 실질적으로 5%에 달하는 수익률을 기대 – 역대 수익률 추이와 현재 밸류에이션에 의한 보수적 추정으로도 – 할 수 있다. 복리효과까지 가세한다면 이렇게 조달한 자본은 15년만에 두 배로 성장할 수 있고, 그 결과 GDP의 20% 가량 규모의 정부발행채권을 실질금리 제로로 발행한다면 발생한 부채를 상환하면서 추가자본을 가계에 지급할 수 있다. 이것은 연금술이 아니라 증권 위험 프리미엄 – 투자자들이 자본을 리스크 투자함으로써 받는 추가 이득 – 을 모두에게 분산하는 길이다.


 MO’MONEY, FEWER PROBLEMS

 현재 상황들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요 통화정책은, 로렌스 서머스나 폴 크루그먼과 같은 케인지언 경제학자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도전받지 않았는데, 이들은 정부 조달 지출을 인프라나 개발에 투자하도록 요청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투자들은 추론대로라면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을 더욱 경쟁력 있게 만들 것인데, 이제는 바로 이렇게 자금을 조달할 때이다: 정부는 10년간 거의 무이자로 자금을 차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식의 단점은 인프라 투자가 병든 경제를 살리기에는 너무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것인데, 영국으로 말할 것 같으면 HS2라고 명명된 고속전철과 런던 히스로 공항의 세 번째 활주로를 증축하자는 합의에 도달하는 데에만 수 년의 시간을 소요했다. 물론 이런 거대한 장기 프로젝트도 분명 필요하긴 하지만 서둘리 될 수는 없는데, 베를린 시민들에게 과연 독일 정부가 불필요한 공항을 $5 billion 을 들여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그것도 5년이나 늦게 진행할 필요가 있었는지 물어보면 어느 정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인프라와 연구개발에 투자를 해야 하지만, 불충분한 수요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더 빠르고 직접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현금이전이 이런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면 왜 그 동안 아무도 실천하지 않았을까. 간단히 말하면, 역사적으로, 중앙은행이 지출을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는 점이 크다. 19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설립되기 시작한 국립중앙은행들은 몇 가지 기본적 기능만을 갖고 있었다: 화폐 발행, 정부의 채권 시장에 유동성 공급, 그리고 은행 공황에 대한 완화. 이들은 주로 이른바 공개시장조작 – 주로 정부 채권을 구입하고 판매하는 작업 – 에 깊게 관여되어 있었다. 양적 완화라는, 채권 구입 기능의 최신 변종 기능이 통화시장을 진정시킬 수 있음을 보인 건 2009년에나 입증된 사실인데 그러나 이 정책이 경제를 거의 성장시키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너무 많은 비용이 들었다.

 현금이전정책에 대한 저항감을 설명하는 두 번째 요소는 바로 중앙은행의 밸런스시트에 대한 낡은 사고방식이다. 전통적인 회계는 통화 – 은행권과 저축 – 를 다루는 방식은 일종의 부채로 다룬다. 그래서 한 은행이, 자기 자산을 초과하여 현금 이전을 발생시키면, 기술적으로 은행은 마이너스 순 자산을 갖게 된다. 그런데 중앙은행에게 있어서는 상환능력이라는 개념이 의미가 없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중앙은행은 항상 돈을 더 발행할 수 있는 것이다.

 현금이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저항은 정치와 이데올로기다. 미국에서 연준은 통화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적 변화를 극단적으로 거부하는데, 그 이유는 의회가 연준의 정책운용의 폭을 제한할 수 있다는 공포 때문이다. (외국 은행을 구제하는 걸 금지한다거나 하는) 게다가 많은 보수적 미국인들은 현금이전이 단지 공산주의자들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해 거저 주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유럽에서는 이러한 현금이전정책이 독일의 하이퍼인플레이션 공포에 부딪혀, 결국 2011년에 1930년대 이래 최대의 경기대침체 와중에도 ECB 가 금리를 인상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여기에서도 이데올로기적 저항감은 발견된다.

 그러나 현금이전정책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가난한 가구가 예상하지 못한 유산이나 세금 환급을 받았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유산은 수령인이 무언가를 해서 얻는 소득이 아니고 그 시기와 양은 수혜자의 의지에 달린 것이 아니다. 이런 선물은 가족관계에서 일어나긴 하지만 금융적인 측면에서 이건 사실 정부가 직접 현금을 주는 것에 다를 바 없다. 가난한 사람들은 물론 부유한 친척이 없기 때문에 유산을 받을 기대도 거의 할 수 없는 것인데, 그러나 여기에 제시된 계획이 실행된다면 자국 경제가 침체기로 접어들 때라도 기회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경기 침체가 무언가에 대한 치유나 필연이라고 믿는 사람이 아니라면, 정부가 이를 치유할 수 있을 때 그걸 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현금 이전은 그렇게 하기 위한 이제 유일한 대책이기도 하다. 이 정책은 인프라 투자나 세제개편에 비해 그 효과가 매우 신속하다는 점 또한 이 정책의 장점이다. 이자율 인하와는 반대로 현금이전은 지출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금융시장과 자산가격을 덜 왜곡할 수 있다. 그리고 불필요하게 부유층을 괴롭히지 않고서도 불평등을 교정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만 아니라면 이 정책의 장벽들은 극복할 수 있다. 이게 과격한 혁신인 시대는 이제 옛날이며, 중앙은행은 21세기 경제를 운용하기 위해 한 세기도 지난 정책세트를 아직도 운용하고 있다. 이런 구태전략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한 그 결과는 비틀리고 보잘것없는 결과만 낳을 것이다. 이제 남은 새로운 방안을 실시하기 위해 용기와 두뇌와 그리고 리더십 모두가 필요한 때다.


Posted by 김구공룡
,



Systematic fraud by the world’s biggest carmaker threatens to engulf the entire industry and possibly reshape it - The Economist









폭스바겐 비틀 모델 Herbie 가 1960년대 디즈니 영화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그것은 작은 사고를 겪었지만 결국 자동차와 승객 모두에게 행복하게 끝났다. 이 독일 자동차메이커가 그의 차들에게 부여하기로 마음먹은 최근의 어떤 능력은 훨씬 더 암울한 방향이었다. 미국의 배출가스 측정 규제를 혹이기로 한 숨겨진 소프트웨어는 결국 폭스바겐을 공황으로 몰아넣었다. 그리고 이 스캔들은 배연과 연비에 대한 더욱 광범위한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이것은 산업 전체에 대한 큰 타격이자, 어쩌면 재구축할 요소일 수도 있다.

 

세계 최대의 자동차메이커 VW가 입은 피해는 재앙적인 것이다. 회사의 주가는 이 속임수가 밝혀진 이후 1/3이 하락했고 수십억 달러의 벌금과 그 외의 재무적 페널티에 처해졌다. Wolfsburg 본사를 향한 소송이 날아들 것이고 중요한 미국시장 대상 전략은 망가지고 명성은 갈가리 찢어졌다. Marin Winterkown CEO는 이 소프트웨어 ‘결함’이 회사 R&D 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음을 시인하고 9월 23일 사임했다.

 


회사의 모국도 충격에 빠졌다. 독일 환경장관 Barbara Hendricks 은 ‘경악 이상이었다’ 고 진술했으며, 야당은 이에 대응하여 의회 청문화에서 정부가 이미 올해 초 배기 데이터 조작은 기술적으로 가능함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당혹감을 더하는 현실은, FIFA 월드컵 스캔들에 이어, 유럽이 어긴 제도를 미국이 집행하게 되는 역학구도에 대한 것이다.

 

 Sigmar Gabriel 경제부총리는 9월 21일 독일의 수출 제품 경쟁력 즉 ‘Made in Germany’ 브랜드에 대한 높은 신뢰가 손상될 것을 우려한다고 언급했다. 이 명성들의 대부분은 자동차산업의 넓은 어깨와 견고한 타이어에 이르며 나라 전체 고용자의 1/7을 직간접적으로 차지하는 규모와 함께, 포르쉐 아우디 VW 등 산업 리더들이 가진 안정된 브랜드가치에서 나온다. 산업계는 이 사태가 전 세계 고객이 독일 자동차 산업에 일종의 Sippenhaft 가족 연대 책임 을 묻게 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독일 수출소득 못지 않게 위험해진 것은, 독일의 가장 뛰어난 엔지니어 중 하나였던, Rudolf Diesel 이 만들어낸 위대한 산물이다. 디젤엔진은 점화플러그를 사용하는 엔진보다 더 나은 연료 효율을 제공하며, 이런 뛰어난 효율은 운전자의 지출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둘 다 저감하게 해 준다. 이러한 장점들은 유럽의 검소하며 친환경적인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힘이었다. 세계의 다른 시장에서는 그닥 인기 있지는 않았지만.

 

 불행히도 이런 혜택들은 비용으로 돌아왔다. 디젤 자동차의 효율은 더 높은 온도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는 데에서 나오는데, 이는 다양한 종류의 질소산화물 이른바 NOx 를 생성한다. 이는 이산화탄소처럼 글로벌 기후변화를 유발하지는 않지만, 국소적으로는 더 나쁜데 스모그를 일으키고 식물과 허파에 피해를 준다. 더 안 좋은 것은, 석유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NOx 를 후처리하기 위한 기술들은 복잡한 컨트롤과 비싼 대안을 요구함으로써 디젤엔진의 장점들과 충돌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는 트럭이나 배와 같은 대형 엔진에서는 큰 비용이 아니지만 승용차와 같은 작은 엔진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미국에서 NOx 규제는 유럽의 기준보다 높기 때문에 마츠다나 혼다와 같은 디젤차 메이커들은 이를 준수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제 폭스바겐은, 디젤이 청정하고 친환경적이라고 미 당국을 설득하였지만 결국 속임수가 없이는 기준을 만족하지 못했다. 그리고 또한, 유럽의 디젤엔진들이 미국보다 더 완화된 유럽의 기준조차도 맞추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나면서 디젤 자동차의 미래에 암운을 드리우고 있다.

 


Nothing seems right

 

이 스캔들은 9월 18일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들이 배기인증시험주행모드에서만 NOx 처리 모듈을 작동시키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했음을 미국 환경국 EPA가 밝혀내면서 터저냐왔다. NOx 배기제한은 0.07g/mile (0.048g/km) 인데 실제 주행 환경에서의 배연량은 기준치를 40배 이상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EPA 는 폭스바겐으로 하여금 미국에 있는 50만대 이상의 차량을 리콜하고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것을 명령했다. 9월 22일 회사는 전 세계 1100만 대의 차량에 대해서 실 주행 배기와 테스트 모드에서의 배기에 ‘현저한 편차’ 가 있음을 인정했다.

 

 청정대기환경법 Clean Air Act 에 따라 대당 부과되는 최대 벌금은 $37,500으로 48만 2천대의 차량에 부과되는 총액은 $180억에 달할 것으로 법무부는 추산한다. 실질적으로 이 벌금 자체는 훨씬 덜할 것으로 보이는데, 점화스위치 불량을 무시함으로써 124명의 사고사망자를 발생시켰던 제너럴모터스는 결국 $9억의 벌금을 부과받았고, 2013년 급가속 문제로 810만대의 차량을 리콜했던 도요타가 지불한 최종 벌금은 $12억 이었다.

 

 그러나 벌금이 전부가 아니다. 분개한 운전자로부터의 집단 소송이 포르쉐 같은 속도로 날아들 예정이다. 이미 9월 22일 폭스바겐은 65억 유로의 보상 공약을 발표하였지만 이는 문제를 해결하기엔 작은 액수로서 이미 회사의 시가총액은 260억 유로가 떨어진 상태였다.

 

 재무적 데미지는 시작에 불과하다. 독일 기업들 사이의 숨겨진 큰 금융 작동은 차량 구입자와 딜러 사이에 대출을 제공하면서 은행처럼 동작하는데, 이 자산은 지난 10년간 두 배로 성장하면서 회사 전체의 44%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은행’은 뱅크런에 더 취약한데 지난 금융위기는 이 전속금융회사들이 위기에 더 취약함을 보인 바 있다. BP 의 멕시코 만 원유유출사고 직후 이런 석유파생거래 전문 자회사를 잘라내야 했고, 제너럴모터스는 GMAC를 2009년 법정관리로 넘겨야 했다.

 

 7월 기준 1640억 유로 규모의 폭스바겐 금융부문은 6년 전의 GMAC와 같은 크기에 달하는데, 단기부채와 자체예금조달에 더 의존하고 있다. 게다가 VW의 자동차와 금융 비즈니스는 670억 유로의 채권과 예금 그리고 채무로 구성된 당좌자금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간단히 말하자면 12개월 부 당좌에 해당한다. 그룹은 또한 환율과 금리 헷징을 위한 거대한 파생장부도 갖고 있는데 이 장부상의 익스포저는 2014년 말 기준 2천억 유로에 달한다. 이 금융의 카운터파트들은 VW가 이 익스포저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더 높은 마진을 요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추가 리스크는 정확히 산정하기 불가능하다.

 

예금주나 대출자 혹은 거래상대자들이 펀딩의 만기연장을 거부한다면 VW는 이를 조금 더 붙들 수는 있다. 회사는 330억 유로의 현금과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고 남은 여신 한도가 있으며 현금흐름이 있다. 독일 정부는 손상된 챔피언을 지원하기 위해 독일은행에서 구호융자를 제공할 것이며 20%의 지분을 가진 니더작센주도 도움에 나설 것이다. 지금까지 VW 채무 보험 비용은 상승했으나 고통스러운 정도는 아니다. 그럼에도 회사가 세계시장을 설득해내지 못한다면 부정직에 대한 비용은 남을 것이고 더 많은 채무와 유동성위기에 닥칠 것이다.

 

VW의 4기통 TDI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NOx 에 대한 의혹은 2년 전 한 작은 NGO인 청정운송을 위한 기구(ICCT)의 시험에서 시작되었다. 그 시험들은, 물론 의도대로이긴 하지만, 역설적으로 엔진들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ICCT의 결과는 CARB의 관심을 끌었고, 의혹의 대상이 된 VW는 ‘기술적 이슈’를 명분으로 자발적 리콜을 시행했다. 리콜이 문제를 결국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EPA는 결국 테스트 결과를 CARB 와 공유했고, 문제는 공개되었다.

 


The image breaks down

 

왜 VW는 이런 속임수를 쓰고 결국 재앙적인 결과로 돌아온 리스크를 지었는가? 3가지 설명이 있는데, 첫째는 팽창에 대한 압도적인 열망이다. 도요타를 능가하여 세계 최대 회사가 되기 위한 목표에 집착한 나머지 가장 많은 볼륨을 차지하는 제품군에 대해서도 낮은 수익률을 감수하는 것이다 (VW마크를 달고 있는 차량은 그룹 전체 세일즈의 60%에 달하지만 수익률 지분은 2%에 불과하다) 이것은 미국 시장 – 중국 시장에 이은 세계 최대 규모의 – 에의 무리한 진입과 공략을 요구했고, 이를 위해 미국에서 인기가 좋은 SUV를 개발하면서 연비효율이 좋은, 그리고 다른 시장에서도 판매하는 디젤엔진을 도입하게 되었다. 겸손하게 보아도 이는 일단 성공적이었는데 미국시장에서 디젤은 1%에 불과했지만 이 좁은 셰어의 절반을 VW가 차지하게 되었다.

 


 이들 차량들이 NOx에 대해서는 열악하긴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 했다. 이 분야에 정통한 영국 교수에 의하면, “어떤 배기문제든지 충분한 엔지니어링과 자금을 투자한다면, 결국 해결할 수는 있다” VW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기업들보다 더 많이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회사인데 – 2014년 131억 유로 – 이는 분명 옳은 구조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두 번째 설명이 가능한데, NOx 문제 해결은 트레이드오프이며, 배기가스재순환장치는 결국 연비 효율과 출력을 저감시킨다. 이는 운전자들이 좋아하지 않는 방향이다. 보고서는 이 재순환기능이, 관리당국이 지켜보고 있지 않을 때에는 꺼지게 하는 소프트웨어로 구동되고 있다고 말한다. 더 새로운 모델들에 채택되는 선택적 환원촉매 SCR 시스템은 NOx 와 반응하여 최종 배출을 극적으로 저감시키지만, 차량 가격을 증가시킨다. 문제를 해결하지 않기가 쉽다면, 잊어버리곤 하게 마련인 것이다.

 

 VW의 내부자 일부는, 명백하게도, 그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그래서 세 번째 설명이 되는 행동을 했을 것이다: 회피하기. 그들의 사기는 업계 내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인데, NOx 에 대한 새로운 정밀 조사는 전 세계적인 파장으로 이어질 조짐이 보인다. 이것이 VW의 경쟁자들 또한 주가 하락을 겪고 있는 이유이다. 범죄 자체는 특정의 것일지도 모르나, 결국은 자동차제조사가 규제에 탈락한 것 정도보다 훨씬 큰 이슈가 될 것이다.

 

 유럽연합은 NOx에 대해서는 미국만큼 강력한 기준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연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에 더 집중하며 그 기준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문제는 이러한 터프한 제한이 자동차들이 실제로 도로에 내뿜는 배기 결과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Transport & Environment 의 조사에 따르면 규제가 의도한 바와 실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차이는 최근 40%에 달한다.

 

 어떤 회사들은 유럽의 연비측정테스트에 대해서도 이러한 속임수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영국 컨설팅 Emission Analytics 의 Nick Molden이 주장하듯 유럽의 시험 기준은 너무 낡아서 차제조사들이 이렇게까지 교묘한 속임수를 쓸 필요조차도 없다고도 한다. 제조사들은 자신들의 차를 정부 공인 제삼자 기관의 감독 하에 스스로 시험한다. 그러나 이런 기관 또한 상업기관이기 때문에 시험 운행 모드를 현실 주행과 부합시켜야 할 의무가 있지만, 결국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시험 모드를 ‘최적화’ 하곤 한다. 결국 시험주행차량은 고객이 포어코트에서 운전하는 것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낸다.

 


 또한 시험차량은 가능한한 최대한 감량하는데 음향장치 등이 제거되고 윙미러를 빼서 공기마찰을 줄이고 패널 사이의 틈은 테이프로 막고 특수 윤활제가 투입되고 과충전된 저저항 타이어를 장착하고 배터리를 절약하는 알터네이터는 제거한다. 그 차들은 매우 고단기어에서, 허용되는 최고 대기온도에서 시험 운행하는 건 일반적이다.

 


Stable for days

 

더 나쁜 건, 이러한 연비 위장들에 대해서 문제가 제기되었음에도 아무도 이를 확인하려 들지 않았다는 점이다. 미국에서 또한 차량 제조사들은 자체 시험 책임을 진다. 그러나 EPA 는 운행 차량 중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후 점검을 한다. 숫자가 심하게 불일치하면 상당한 벌금이 부과되는데, 2014년 현대기아차는 연비 표기 오류로 $3억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유럽에는 이런 위반에 대한 처벌 제도가 없다. 결과적으로 2008년 이래로 이루어진 유럽의 연비 클레임의 절반은 ‘완전히 이론적인’ 것이 된다고 T&E는 지적한다. 산업계 전체가 이런 노름 마인드를 유지해 왔으며 규제 당국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ICCT 옵저버인 Drew Kodjak 은 VW가 미국에서 해 온 것들은 유럽의 관행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말한다.

 

새로운 레벨의 정밀조사는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제조사들이 비슷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NOx 나 이산화탄소 배출을 속이고 있는지를 밝혀낼 수 있다. T&E에 따르면, 유럽의 디젤 신차들이 배출하는 NOx 배기는 평균적으로 테스트 때 보다 공공도로에서 5배 가량 많다. 그렇지 않더라도 시스템을 느슨하게 만드는 위조에 대한 조치를 요구하는 더 넓은 합의가 존재한다. 차제조사들은, EU의 더 현실적인 사이클을 2017년까지 도입할 것이라는 계획에 대해서 2020년까지는 어려울 것이라고 로비를 해 왔다. 그들의 청원은 이제는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은데, 변화는 단지 2017년 만이 아니라 이미 도입된 계획을 더 정확히 하는 쪽으로도 다가올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은 강화되는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의 배경에서 일어난다. 유럽의 이산화탄소 목표는 2021년까지 평균 95g/km 인데 이미 매우 높은 기준이며, 정직하게 달성해야 한다면 더더욱 어려운 기준일 것이다. 연비 기준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고, 중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 등 다른 시장에서도 비슷한 표준들이 도입되고 있다.

 

 산업계는 디젤엔진으로 이 규제들을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전제로 꾸준히 움직여 왔으나, 만약 디젤이 결국 충분히 높은 연비와 낮은 NOx 목표를 양립시키지 못한다면 결국은 이 가정을 버려야 할 수도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NOx 만큼이나 입자상물질에 대한 배출도 런던과 파리를 중심으로 금지가 논의되고 있다.

 

 만약 디젤이 결국 이를 해 내지 못한다면, 자동차 업계는 하이브리드와 훨씬 효과적인 소형 석유 엔진으로 큰 전환을 해야 할 수도 있다. GM의 사장 Mary Barra는, 자동차제조사는 이미 앞으로의 5~10년 간 앞으로의 반세기 동안 이상의 변화에 직면해 왔다고 말한다. 최고의 환경 목표를 맞추고 새로운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구동장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제조사들은 인터넷을 더 많이 이용하여 그들의 머신을 더 스마트하게 만들고 자동운전차량의 도래에 대비해야 한다. 그 투자는 어쩌면 기념비적이거나 불가능한 수준일지도 모른다.

 

 동시에 경쟁은 업계 외의 주자들로부터 – 산업을 주목하는 구글이나 애플과 같은 – 다가올 수도 있다. 하나의 방법은 과잉생산을 절감하기 위한 합병이다. 대형 합병은 일반적으로 업계에 재앙적이었으나, 그리고 일류가 되기 위해 다른 수단들을 경주해 왔다. 그것은 규모를 다른 무엇보다 우선시하다가 도요타의 품질이슈로 인한 재앙적인 결과로 나타났고 이제는 VW의 추락을 가져왔다. 만약 배기 스캔들이 가져올 미덕이 있다면, 그것은 업계가 추구해온 잘못된 목표를 재구축하는 방향일 것이다.

 



Posted by 김구공룡
,

Gerechtigkeit

카테고리 없음 2015. 9. 19. 00:34


저항권의 문제는 법의 효력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효력있는 gültiges 법에 대해서는 저항이 감행되어서는 안 된다. 실증주의는 올바르게 공포된 모든 실정적 법규범들을 그 내용을 고려함이 없이 효력 있는 법으로서 간주하고, 이에 상응해서 그러한 법에 근거한 모든 정부를 합법적인 것으로서 간주한다. 실증주의에 따르면 저항할 권리란 존재할 수 없다. 즉 저항권이란 기껏해야 도덕적으로만 정당화될 수 있을 뿐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저항권은 단지 정부 내지는 법률에 대해서만 대항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헌법을 위협하는 한, 각 개인이나 집단에 대해서도 대항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항권은, 예컨대 국가권력이 합헌적 질서를 유지하기에는 너무나 약한 경우, 이 국가권력을 지원하는 데에 기여한다. 이것은 헌법구조 Verfassungshilfe 라고도 불린다.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루터, 멜란치손을 비롯하여 저항권의 긴 역사를 통해 불법체제에 대한 저항을 정당화시키는 일정한 기준들이 분명하게 만들어졌다.

 

a)     사회적 정당방위

저항권은 사회적 정당방위의 권리로서 입증되어야 한다. 즉 자신의 권력을 행사함으로써 국민에게 신체적 또는 심리적 위협과 위험을 야기하는 범죄적 상부에 대한 사회적 정당방위권이다.


b)    국가권력의 극단적 남용

저항, 무엇보다도 적극적 저항은, 더더구나 폭력적 저항의 경우에는, 국가권력의 극단적 남용을 전제한다. 국가기관은 명확히 공공복리와 본질적 인권에 대한 공격자로서 나타나야 하고, 그의 활동의 위법성이 명확한 것이어야 한다.


c)     보충성

저항은 단지 부수적으로만, 다시 말해 모든 합법적이고 평화적 수단들이 소진된 경우에만 고려된다. 저항은 달리 제거될 수 없는 긴급사태에서 오로지 최후수단 ultima ratio 일 뿐이다. 보다 관대한 견해는 공적 안정의 위협이나, 상황에 따라서는 무정부주의나 혼란에까지 이른다.


d)    비례성

사용되는 수단들 불복종, 폭력, 극단적 경우에는 전제군주의 살해 은 추구되는 목적과 적합한 관계에 있어야 한다. 약이 병보다 나쁜 효과를 가져서는 안 된다. 언제나 숙고되어야 할 것은 적법한 저항은 파괴된 질서의 복구를 지향하는 것이지 혁명처럼 전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e)     성공에 대한 확신

물론 저항의 적법성이 저항의 사실적 성패에 따라 결정되어서는 안 되며, 여기서도 사실상 좌절된 저항이 매우 높은 도덕적 가치를 갖게 될 수 있다는 점이 숙고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저항이 처음부터 가망이 없고, 따라서 무의미한 것으로 보인다면 저항은 허용되지 않는다.


f)      통찰능력

저항을 감행하는 자는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통찰을 소유해야 하며, 단지 자신에만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복지에 기여한다는 내적 확실성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 명확하고 확실한 판단이라는 요건은 저항할 권리를 갖는 자의 범위를 의심스러울 때는 보다 상위의 이익으로 in dubio pro superiore’ 라는 원칙에 따라 일반적으로 몇몇 지위와 명성을 갖는 인격으로 제한하도록 만든다.


g)    권력을 향한 의지

저항은 오로지 법을 위해서만 감행될 수 있고, 개인적 이익과 필요의 충족, 특히 권력의 획득을 위해 감행되어서는 안 된다. (저항은 혁명이 아니다)


h)    소극적 저항과 적극적 저항, 비폭력적 저항과 폭력적 저항

저항이 수동적으로 아니면 적극적으로 (이것은 폭력과 동일어가 아니다) 감행되어야  하는가, 또는 비폭력적으로 아니면 폭력적으로 감행되어야 하는가의 여부는 사용될 수단의 필요성에 달려 있고, 이 수단의 필요성은 공격의 강도에 달려 있다. 이것은 저항은 완전히 잘못된 시점에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저항의 시점과도 관계가 있다.

 

 이들 전제조건들이 존재하는 경우 저항은 단지 도덕적으로만 허용되는 것이 아니라 합법적인 것이다. 많이 한탄되고 있는 저항의 비극은 저항권의 표지들이 자주 일의적으로 인식될 수 없다는 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 외관적 표지들에 따르면 반역자나 매국노로 보여, 나름대로의 정당화사유 근거를 경청하지 않는다는 것이 너무 자주 저항자의 운명일 뿐이라는 점, 또한 이러한 저항은 행위시점과는 멀리 동떨어진, 비로소 재건될 법치국가를 위한 것이라는 점에 있다.


 사람들이 숙고하여야 할 것은 여기는 법치국가이고 저기는 불법국가라고 단정하는 모델은 잘못된 것이고, 허용될 수 없는 단순화이다. 불법국가로 변질될 위험으로부터 벗어난, 그리고 정부에 의해 초래될 불법이 일어나지 않을 법치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문제는 법치국가에서도 허용되는 저항행위들, 즉 너무 늦어서 큰 저항이 필요하게 되지 않도록 적시에 작용하여야 하는 작은 저항행위들이 존재할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법치국가에서 저항이 감행될 수 있는가 어떤 범위까지 허용되는가는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엇보다 이른바 시민불복종이 논의되는데, 이는 마하트마 간디 로부터 유래하며, 이 문제를 학문적으로 다루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한 사람이 바로 존 롤즈였다.


 논쟁은 무엇보다도 시민불복종이 법 내지는 법률에 반하는 것인가의 여부와 반대자들이 자신의 행위에 대한 법률효과들을, 특히 형벌을 감수해야 하는가의 여부를 둘러싸고 전개된다. 이것에 대해 이미 간디는, 시민불복종은 완전히 비폭력적인 것이어야 하고, 이것에 대해 예정된 형벌은 감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나는 지금부터 시민불복종에 관한 대략적 이론에서 자연적 의무와 책무의 원리들의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이론은 오로지 거의 정의로운 사례의 특수한 경우, 즉 요컨대 대부분 질서정연하지만 정의에 대한 몇몇 심각한 침해들이 존재하는 그러한 사회의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거의 정의로운 상태란 민주적 정부를 전제한다. 이 이론은 합법적으로 성립된 민주적 권력에 대한 시민불복종의 역할과 적합성과 관련된다. (…) 


시민불복종의 문제는 다소간 정의로운 국가에서, 그 헌법을 승인하는 시민들에게 발생한다. 문제는 일종의 의무의 충돌에 있다. 어떤 지점에서 의회의 다수에 의해 의결된 법률 (혹은 이 다수에 의해 지원되는 집행부의 행위들) 에 복종해야 할 의무가, 자신의 자유에 대한 방위권과 부정의에 대한 저항의무에 직면해서 더 이상 구속적이지 않은가? 이 질문은 다수결 원칙의 의미와 한계와 관련된다. 따라서 시민불복종의 문제는 민주주의적 도덕적 기초에 관한 모든 이론들에 대한 시금석이 된다. (…)


나는 시민불복종을 다음과 같이, 즉 법률이나 정부정책의 변경을 유발시키려고 하는 공적, 비폭력적, 양심에 근거한, 그러나 법률에 반하는 정치적 행위라고 정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그러한 행위를 하는 사람들은 사회 다수의 정의감에 호소하고, 자신들의 잘 숙고된 견해에 따르면 자유롭고 평등한 인간간의 협조의 원리들이 존중되지 않았다고 선언한다. 우선 확정되어야 할 점은, 이러한 정의는 그에 대해 항의가 이루어지는 해당 법률이 타파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시민불복종은 단순히 합헌성 심사에 관한 시험적 사례를 제시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어떻든 법률에 반하는 것이다. 즉 저항의 대상이 합헌적이라고 선언된다고 하더라도, 저항은 존속된다. (…) 시민불복종은 또 다른 이유 때문에 비폭력적인 것이다. 설령 저항이 그 한계선상에 있다고 하더라도, 시민불복종은 법률에 대한 충성의 한계 내에서 법률에 대한 불복종을 표현한다. 법률은 타파되지만, 법률에 대한 충성은 행위의 공적 비폭력적 성격에서, 즉 행위에 대한 법률효과를 감수할 용의에서 표현된다.


 - J.Rawls. Theorie der Gerechtigkeit





Posted by 김구공룡
,